[글로벌 헬스 와치 6판 요약 발제문] A1장: 팬데믹 이전의 병리학에서 팬데믹 이후의 희망으로

한국민중건강운동은 2023년 3월 6일부터 7월 10일까지 [글로벌 헬스 와치 6판: 팬데믹의 그늘에서] 함께 읽기 세미나를 진행합니다. 세미나에 함께 하지 못하는 분들과도 책의 내용을 함께 나누고자 요약 발제문을 차례로 올립니다.

글로벌 헬스 와치 6판 함께 읽기 세미나 안내문 바로가기

 

 

발제 일자: 2023.03.06 / 발제자: 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 이동근

 

<요약>

 

최근 격변의 상당부분을 경제적 불평등 확대, 생태학적 영향 악화, 빈곤, 갈등, 기후위기에 구제를 원하는 운동의 성장이라는 세가지 실존적 팬데믹 이전 추세의 연속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코로나19는 우리의 최근 신자유주의 지배 역사가 인류의 많은 부분을 불평등한 위험에 빠뜨린 정도를 더 이상 그냥 두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었습니다. 아이러니한 것은 부유한 세계는 전염병의 영향을 받은 많은 사업과 노동력에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능력을 동원하여 글로벌 금융 공간에서 새로운 돈을 창출하였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 더 부유해젔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 안도감은 얼마 지나지 않았습니다. 글로벌헬스워치 6번째 보고서는 우리에게 재앙적인 정점을 피할 수 있는 시간이 몇 년밖에 남지 않았다고 경고합니다. 수백만명이 기후위기에 처해있고, 분쟁이 발생하고, 난민을 찾거나 빈곤에 벗어나 인구를 다루는 정책은 여전히 가장 취약한 사람들을 보호하는데 실패하고 있습니다.

 

이 장은 긍정적인 변화의 신호도 제공합니다. 지난 2년동안 경제와 사회를 하나로 묶기 위해 사용했던 고소득 국가 노력한 결과로 국내적 및 국제적 세금 개혁논의가 있었습니다. 제안된 글로벌 최저 세금 수준(15%)은 너무 낮으며, 기업들은 여전히 이를 피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세금 수익은 대다수 고소득 국가에 갑니다. 하지만 그것은 시작입니다. 한계소득세와 부유세에 대한 움직임이 절실히 필요합니다. 아마존 회장은 거의 모든 소득세를 납부하지 않는 대신 5억달러 규모의 요트를 주문제작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국가들은 친환경이 되기 위해 서두르고 있으며 녹색 경제 조치가 제한적이고 행성 생태계의 시점에서 깊은 결함이 있더라도, 활동가들은 붙잡을 수 있는 변화의 플랫폼을 만들고 있습니다. 그러나 백신 아파르헤이트의 세계에서 이러한 이니셔티브를 통한 잠재적 이익에 박탈당한 사람에게 도달하는데는 시간이 걸릴 것입니다.

 

  • 가. 서론

 

– 글로벌 헬스워치5(이전 최신편)는 도널드 트럼프 취임한 2017년에 등장하였습니다. 그 이후로 더 위험해진 세계: 극우 포퓰리즘은 상승, 보호주의적 토착주의(?)를 장려, 외국인차별주의가 강조되었다. 중동에서 지역분쟁 및 (과거 베트남전쟁 같은) 대리전쟁이 악화되었다.

– 세계 경제는 아프리카 지역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부진을 면치 못했다. 지정학적 힘은 혼란스럽게 변화해 간다. 미국이 다자주의에서 탈퇴하고 중국의 영향력이 확대되었고, 유엔과 산화기관의 규법적 권위가 약화되었다. 지속적 불평등과 생태학적 위협에 대한 시민사회 활동가의 반발은 거의 모든 곳에서 발견될 수 있었다. 그리고 억압도 마찬가지로 강해졌다. 그 상황에서 코로나19가 발발했다.

 

– 오랫동안 예측되고 일상적으로 무시되어온 전염병으로 인해 중단되지 않은 곳은 거의 없었다. 코로나19는 아직 과거 1918년 독감유행 사태와 같은 저승사자 수준의 발생규모는 되지 않았다. 그러나 높은 전염성, 초기에 알려지지 않은 건강영향 수준, 노인에게 발생하는 초과사망률의 조기 인지, 그리고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국가 마저도 취약했던 의료시설로 극적인 락다운을 이끌었다. 그리고 국가 경제는 혼란으로 빠졌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잔재와 지정학적 긴장으로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세계 경제는 2021년 말까지 악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기침체의 급락을 시작했다. 실업률이 치솟으면서 민족주의적 가식이 우파 포퓰리즘 정치의 상승에 기름을 부었다. 트럼프식 대담한 독재자들은 권력에 대한 정악력을 강화하고, 민주적 규범을 침식하며, 인권을 억압하기 위해 코로나19의 엄호를 활용했다. 공중보건문제는 2020년까지 거의 모든 다른 관심사에 우선해서 다루어졌다. 세계 많은 사람들은 “평평한 곡선”의 엄격함을 따르고자 노력했지만, 상당수가 불신, 불화, 기만을 조장하는 것을 기반으로 커리어를 쌓은 소수 정치지도자들의 대담한 음모론을 받아들이기도 했다.

 

– 2020년 말에 코로나19 피로는 도처에 널려있었다. 정상으로 돌아가자는 열망은 분명했고, 백신이 출시되면서 분명히 빠르게 도달할 수 있었다. 부유한 백신 국가주의를 벌인 부유국들에 사람들은 다른 가난한 국가의 첫 번째 백신 분량에 대한 접근을 가로채갔다(b4 참고). 한편, 바이든의 선거승리는 많은 사람들에게 약간의 안도감을 주었지만, 미국은 여전히 무섭게 분열되고 거의 실패에 가까운 상태였음. 중국과의 지정학적 긴장도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 정상에 가까운 주기가 점점 더 커짐에 따라 포스트 팬데믹의 정상은 무엇인가에 대한 더 큰 질문들이 들어온다. 2008년 금융위기와 신자유주의의 광기에 종지부를 찍고 영리한 제목으로 뒤덮일 것이라고 생각했던 사람들보다 새로운 정책 대본 세트에 광범위한 열정이 있었다.

이러한 아이디어 개요는 비록 아직 그들 사이에 깊은 합의가 없더라도 많은 공통 주제를 공유한다. 2008년 개혁 의제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정책 레시피가 대부분 새로운 플레이 북의 핵심에 있는 환경적 경제적으로 정의로운 미래의 왜곡된 버전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 2008년에 정부의 즉각적인 목표는 투자 은행가들과 레버리지 투기꾼들의 규제되지 않은 탐욕으로부터 세계 경제를 구하는 것이었는데 이는 세계의 부유한 국가들이 놀랍고 민첩하게, 그리고 엄청난 양의 개인(기업, 금융 포함) 부채를 기꺼이 사회화하려는 것이었다. 포스트 코로나19의 임무는 더 보편적이고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긴급성을 가지고 있다. 문명을 끝낼뻔 했던 국제적 보건 및 금융 위기를 완화하고 미래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계획을 보장하는 것이다. 리빌딩 함의의 상당 부분이 전염병 대비 취약했던 보건시스템 대응 능력에 초점을 맞춘다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2008년 금융위기에 보건에 부정적인 후유증이 보여주지 못했던 방식으로 팬데믹은 위험, 질병, 사망을 구체화 했다. 우리는 그러한 위험과 그 결과가 공평하지 않다는 것을 반복적으로 목격하였다. 전염병이든 다른 질병이든 거의 발생하지 않지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바이러스의 갑작스러운 출현은 어떤 사람들이 어떻게 보건과 경제적 측면보다 얼마나 더 나쁜지에 대한 많은 관심을 끌었다.

 

  • 가난한 사람/ 노인들/ 인종차별을 받는 사람들
  • 집이 없거나 비공식적으로 정착한 사람들
  • 무허가 또는 무국적 이주자
  • 불안정 노동자
  • 필수 근로자, 의료서비스 종사자 등등
  • 가정 돌봄업무가 급증한 여성들
  • 이미 건강이 악화된 사람들
  •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소외로 특징 지어지는 많은 다른 집단들 중 하나

 

– 이러한 취약성은 단일한 경우가 드물며, 하나의 주 변화에 대한 부담이 여러 개의 다른 취약성의 무게로 가중시킨다. 이러한 취약성은 전염병 이전에도 발생했다. 그들의 체계적인 원인을 바로잡는 것은 현재 유행병의 종식을 보장하거나 새로운 유행병의 잠재력을 줄이는 것 뿐만 아니라, 코로나19를 보유한 일시적으로만 사회적, 생태적 위기에 대처할 수 있는 ‘공동정의’ 사회질서를 만드는데 필수적이다. UN 사무총장(안토니오 구테흐스)은 분명하게 발언했다.

 

“코로나19는 엑스레이처럼 우리가 구축한 사회의 연약한 골격에 골절을 드러냈다. 그것은 도처에 잘못된 것들을 드러나게 했습니다. 자유시장이 모두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거짓말, 무급 의료서비스가 작동하지 않는다는 허구, 우리가 인종차별 이후의 세계에 살고 있다는 망상, 우리 모두가 같은 배에 타고 있다는 신화들 말입니다. 우리 모두가 같은 바다에 떠있음에도. 어떤 사람들은 슈퍼 요트에 있고 다른 사람들은 떠다니는 잔행에 오르고 있다는 것이 분명하기 때문입니다.”

 

  • 나. 팬데믹 이전의 병리학

 

2019년 책 ‘세계화 시대에 건강형평성’은 인류의 세가지 상호 연관된 실존적 위기로 구성되어 있다고 요약하며 마무리한다.

=> 불평등(소득, , 자산)/ 생태붕괴(기후위기 등)/ 이주(국경 내/국경간)

 

이 삼위일체는 세 번째 위기를 이끄는 첫 두가지는 우리의 생존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실존적이라고 불린다. 새로운 문제는 아니지만 팬데믹 이전에 악회된 메트릭스는 팬데믹 이후의 우리의 미래를 위한 대화에 더 많은 관심을 집중 시키고 있다.

 

  • 1) 극심한 불평등

 

– 빈곤과 불평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글로벌 헬스워치의 모든 판에서 주제가 되어왔다. 2005년판, 첫 번째 챕터는 2004년 ‘세계화의 사회적 측면에 관한 세계위원회’의 인용으로 시작된다.

 

“세계화의 현재 경로는 바뀌어야 합니다. 너무 적은 사람이 이익을 공유한다. 이 디자인에서 너무 많은 사람들이 발언권이 없고, 그 과정에서 영향력이 없습니다”(소마비아_ILO 사무총장)

 

가장 완고한 신자유주의자들을 제외한 모든 사람들이 자주 한탄하는 것으로 옮겨갔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그 관찰 이후 거의 변하지 않았다.

 

– 이후 모든 GHW판은 신자유주의 세계화로 주도된 정책선택의 결과로 불평등과 건강문제에 부정적인 영향의 증가했다고 파악했다. 특히 GHW4는 그림 1.1에 포착된 세 단계를 통해 신자유주의의 부상을 추적했다(1.0은 구조조정, 2.0은 금융화, 3.0은 긴축). 더 최근에는 4.0 버전이 주목받는다. 바로 민족주의, 보호주의와 급진적인 포퓰리즘의 성장이 신자유주의의 경제적 기반을 제거한 것이 아니라 단지 그들 국가적인 고착화를 강조했을 뿐이라는 점에서

몇몇은 신자유주의의 최신버전이 이전 세기의 중상주의 자본주의와 더 유사한 ‘원초적’이라고 표현했다. 다른 사람들은 그것을 ‘권위주의적’ 또는 변종‘이라고 설명합니다. 우리는 그것을 무엇이라고 부르든지, 신자유주의 1.0에서 3.0.은 공유된 개념의 글로벌 기업이라는 환상이 국가적 힘의 능력에 완전히 수용되는 투명한 버전(4.0)에 의해 산산조각이 났다. 그리고 긴축이 진행되었다고 생각하지 않도록, 팬데믹 이후의 재정 강경파들은 새로운 긴축 라운드의 이유로 여유로 수조달러 규모의 코로나19 구제 패키지를 목표로 하고 있다.

 

– 팬데믹 이전의 위기에서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목소리가 높았던 주장 중 하나는 세계은행의 극빈도 측정치 아래에 사는 사람들의 비율과 절대적인 숫자가 현저하게 감소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감소의 대부분은 중국과 남아시아 및 동아시아 국가들에 의해 설명된다. 2020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는 1990년 보다 더 많은 극빈층이 있다. 그지역 경제성장은 인구증가를 따라잡거나 공평하게 분배하는데 실패했다. 가장 최근 GHW5가 명확하게 밝혔듯이 지속가능한 개발 목표의 세계 국가들은 2030년까지 모든 형태에서 빈곤으로부터 벗어난 것에 약속했었다. 하지만 2030년 1월 1일이 다가오면 팬데믹 이전 추세에서도 여전히 5억명은 극도로 가난한 상태에 처해있을 것이다.

 

– 유엔 무역개발회의는 74세의 기대수명과 매일 5.5$ 수준의 소비를 필요하다는 빈곤의 다른 형태를 측정하고 있다. 그 지표와 팬데믹 이전의 빈곤추세를 이용하면 남아시아와 사하라 사망 이남 아프리카의 90%는 2030년에 빈곤한 상태에 처해 있다. 그 윤리적 소비 수치는 더 최근에 7.4$로 수정되었는데 2030년이 밝아올 때 약 42억 명이 여전히 빈곤할 것이다. 이러한 예측들은 모두 팬데믹 이전의 예측치이며 이는 코로나로 더 악화되었다. 세계은행은 봉쇄와 세계적인 경기침체가 여전히 극심한 빈곤 속에 살고 있는 현재 7억 4천만명에 최대 1억 5천만명이 더 추가됐다고 예상한다. 최악의 시나리오는 2020년 말까지 5.5$/일 수준에서 팬데믹 이후로 5억명이 증가했다고 추정한다. 특히 부유한 국가에 박탈당한 저소득 국가의 백신 접근으로 장기 예측도 암울하다. 극명한 현실은 지난 수십년간 신자유주의의 지배에서 달성된 약간의 빈곤감소가 재빠르게 돌아갔다는 것이다.

 

– 가난을 줄이는 시도의 실패의 비극은 인류의 극히 일부가 성층권 과잉에 도달했다는 것이다. 2014년 옥스팜은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85명의 부자들이 35억명의 가난한 사람들 만큼의 부를 가지고 있다고 계산했다. 팬데믹이 오기 직전인 2019년에 업데이트 했을 때 같은 사람들의 부는 26명으로 줄어들었다. 옥스팜이 사용하는 방법에 의문이 있지만 부의 격차가 커지고 있고,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데에는 이견이 거의 없다. 코로나19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소득과 재산이 줄었지만 전 세계 억만장자의 재산은 2조 2천억달러 이상 증가했다. 미국에서만 650명의 억만장자의 부가 2020년 3월 초 2조 9500억 달러에서 같은 11월 4조 달러 이상으로 증가했다. 그리고 개인과 기업에 대한 9조 달러 규모의 정부지원 상당부분이 과열된 금융시장으로 귀결되었으며, 세계 2700명의 억만장자들이 불과 1년만에 5조달러에서 13조달러로 재산을 불릴 수 있었다. 우리는 지금 인류가 경험한 것 중 가장 불평등한 세상에 살고 있다. 단순한 분노를 초월하여 수치심조차 잊은 채

 

  • 2) 불타는 행성

 

생태학적 위험에 처한 세계의 이미지는 더 이상 방해하지 않을 정도로 어디에나 있다. 전례없는 규모의 산불과 대대적인 파괴. 그들의 이번 세기 최악의 타이틀 경쟁벌이는 태풍과 폭염이 중동과 남아시아의 많은 지역을 사람이 살지 못하게 만들 것이다. 해수면 상승을 위협하는 빙하 붕괴는 오랫동안 예상했다. 하지만 여전히 화석 연료는 연소된다. 숲은 벌채된다. 바다는 남획되고, 플라스틱화된다. 정글은 소고기와 콩을 얻기 위해 평평해지고, 민물호수는 사막의 연못이 되었다. 그것은 악몽의 형태, 독성소비이다. 주로 소수에 의해 주도되지만 다수의 희생을 일으킨다. 아이러니하게도 지금 팬데믹으로 인해 중단되었지만 전 세계 건강은 비록 계속 불평등하게 진행된다. 록팰러재단, 랜싯 위원회에서 경고했지만, 이것은 미래세대의 건강을 저당잡고 현재의 이득을 실현하는 것이다.

 

팬데믹 이전에 미디어는 그레타툰베리와 기후 학교파업에 빠져있었다. 멸종반란은 2008년 아큐파이 무브먼트와 동등한 환경운동이 되었다. 많은 나라의 녹색당들은 선거에 더 많은 의석을 차지했다. 기후변화 정치는 행동주의를 우선시 했지만, 기후변화는 우리가 직면한 유일한 생태적 위기는 아니다. 2017년, 경제학자 케이트 로워스는 우리의 사회적 커먼즈가 약탈당하면서 우리의 환경이 파괴되고 있는 것에 대한 증거를 요약한 인기있는 서적을 출간했다. 그녀는 그것을 도넛 경제학이라고 불렀다. 그것은 생태학의 외부고리가 사회의 내부고리를 둘러싸고 있는 간단한 도표에 도움이 되었기 때문이다.

거의 모든 생태계 영역에서 오버슈팅 또는 행성의 경계를 넘어 지탱할 수 있지만 우리의 생명은 아닐 가능성이 있는 세계로 들어갈 준비 태세 처해있다. 우리는 여섯 번째 대량 멸종의 한가운데 있다. 그리고 부영양화된 호수와 해양사막지대로 가는 길을 수정되고 있다. 그러나 가장 즉각적이고 잠재적으로 치유할 수 없는 위기는 기후변화이다. 우리는 아직 티핑 포인트를 통과하지 못했을 수도 있지만, IPCC 2021년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는 이미 그것에 매우 근접해 있으며, 유엔 사무총장 2021년 보고서는 “인류 코드 레드”로 결론을 설명하기도 했다. 만약 우리가 정부가 약속한 1.5도 증가 내에서 2050년까지 도달하려면, 현재 땅에 있는 대부분의 화석연료가 새로운 화석 연료 탐사, 개발 및 산업에 대한 연간 5.2조 달러의 정부 보조금과 함께 멈춰야 한다. 우리가 이를 즉각 하지 않으면, 우리는 2024년에 일찍 합의된 한계에 도달할 것이다. 빅 오일이 40여년 전 기후변화를 만드는데 있어 자신들의 역할을 처음 인정했고, 2030년까지 배출량을 45% 감축하도록 요구하는 파리협정에도 불구하고, 상위 50개 석유회사들이 향후 10년동안 배출량을 35% 더 증가시킬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러한 탄소배출의 가장 가까운 건강영향은 대기오염으로 인한 사망이다. 세계보건기구는 2015년 900만명과 관련된다고 추정한다. 이러한 사망의 90%이상은 중저소득 국가에서 발생한다. 이 질병 부담의 불평등은 현저하다. 네 가지 건강영향(말라리아, 설사, 영양실조, 홍수)에 대한 총 사망률과 글로벌 co2 배출자를 비교하는 두 개의 밀도 균등화 지도를 보여준다. 더 부유한 북반구는 말그대로 남반구 사람들을 죽이고 있다. 우리 중 가장 부유한 1%는 지구 전체 인구의 가장 가난한 50%보다 두배나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 코로나19도 연결되어 있다. 인도 대기오염은 높은 수준의 빈곤, 영양실조 및 호흡기 질환과 결합하여 유아, 어린이, 청소년에게 코로나19 사망률이 놀라울정도로 높였다.

 

우리의 세계적으로 불평등한 소비 수준에 대한 요점은 중요하며 자본주의 근본적인 모순을 증명한다. 우리의 경제성장의 필수성은 또한 소비 필수성과 같다. 마케팅 컨설턴트가 1955년 아티클에서 유쾌하게 언급한다. “우리의 엄청나게 생산적인 경제는 소비를 부추겨 우리의 삶의 방식으로 만들 것을 요구한다”, “점점 빠르게 소비되고, 소진되고, 낡고, 교체되고, 폐기된다” 이 격언은 영광스러운 30년의 발전 시기에 쓰여졌다.(적어도 고소득 국가에서는 빠른 성장, 진보적 세금, 강력한 노조화, 새로운 사회보호 프로그램, 소득 불평등의 급격한 감소, 현대 페미니즘, 진보 사회운동가들의 증가했던 시기) 적어도 고소득 국가들은 그랬다. 당시 개발도상국이라고 불렸던 국가들은 그들만의 탈 식민지화의 길과 새로운 국제질서를 만들기 위한 노력하면서 냉전과 시장의 개인 시민적, 정치적 권리와 국가의 집단적, 사회적 의무라는 상반된 담론에 맞서 싸웠다. 이 시대는 통화이론에 따라 세계 강국의 보수정부가 금리를 급격히 인상하여 통화 공급을 줄여야만 통제할 수 있다고 주장했던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하자 전율하며 멈춰버렸다. 그 결과 개발도상국의 부채위기와 신자유주의 승리주의가 출현했다.

 

HIC의 불만스러운 중산층과 많은 정통 경제학자들에게 높은 생산성과 동등하게 높은 소비의 ’영광스러운 전후 30년‘은 돌아가고 싶은 향수어린 소망이 있는 경제입니다. 경기부양책은 주로 수요를 늘려 생산량을 늘리고 생산 및 소비 경제를 최대한 빨리 재부팅하려는 정책으로, 대부분의 정부가 팬데믹 극복을 위해 내세우는 구호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경제적 사고는 대체로 신화적입니다. 사람들이 만들거나 사는 것 보다 금융화된 도구와 투기를 통해 훨씬 더 많은 이익이 축적됩니다. 그것은 또다른 환경 학살입니다.

 

  • 3) 이주민

 

이민은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오늘날 그 규모는 전례가 없습니다. 7명 중 1명은 이제 이주자이며, 절대적이고 상대적인 숫자 모두 역사상 이전 어느때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이동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구 이동의 대부분은 19세기 유럽 산업화와 함께 농촌에서 도시로 이동하는 국가적 흐름이었다. 이는 중저소득 국가 전반에서 크게 단축된 시간동안 발생하고 있다. 팬데믹 이전에는 10억명 이상의 사람들이 이주민으로 집계되었으며, 그 중 거의 2억 6천만명이 국제 국경을 넘었다.

 

고인이 된 사회학자 지그문트 바우만은 1998년 현대 세계화를 비판한 책에서 세계가 어떻게 점점 더 두 계층으로 나뉘고 있는지에 대해 주목했다. 여행자, 돈과 지위를 가진 자들/ 분쟁, 빈곤을 위해 또는 단순히 더 나은 삶을 추구하기 위해 이주하는 비거본드, 특권이 없는 수많은 방랑자들(환영받지 못함)로 나뉜다. 일부 국가들은 난민 신청자들과 망명 신청자들을 조심스럽게 받아들인다. 그러나 65개 국 이상이 6500만명의 이주민을 막기 위해 이민, 가뭄, 분쟁 또는 세가지 모두에 의해 강제적으로 장벽을 쌓고 있다. 수천만명이 더 국내 피난민이 되어 중저소득 국가에 거주하고 있으며 이들을 위해 제공할 자원이 부족하다. 이 캠프는 군중밀집도, 제한된 물과 위생시설, 코로나19 감염자를 치료할 능력 부재까지 감염병 확산을 위한 최적지이기도 하다. 부유한 기부국들은 현재 자국의 국내 전염병 구제 또는 회복에 대처하기 위해 해외 원조 예산을 삭감함에 따라, 상어 입에서 도망치는 수십만 명의 사람들은 극심한 굶주림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난민캠프에 갇히게 된다.

 

 

일부 국가는 대유행 정책에서 이민자들을 관대하게 대했는데 대게의 국가는 비정규직으로 간주되는 이민자들을 포함한 모든 이민자들에게 의료 접근을 확장하였고, 몇몇 국가는 실업급여에 대한 자격 장벽을 제거하거나 영향을 받는 근로자에게 직접적인 소득 지원을 제공하여 적어도 일부 이주노동자들의 생활여건을 개선했다. 포르투갈은 망명신청자에게 완전한 시민권 까지 확대하였다. 그러나 소수의 예외를 제외하고 고소득 국가에서 태어난 외국인들은 부분적으로 그들의 직업이 집에서 일할 수 없는 직업이었기 때문에 대규모 실직을 경험했다. 여전히 일하는 사람들은 낮은 임금을 받는 직업에서 코로나19 위험이 더 높은 장소에서 일해야 했다.

 

팬데믹은 외국인 혐오를 번성하게 만들 구실을 제공했다. 많은 유럽 국가에서 로마인구와 공동체에 대한 편견이 빠르게 증가했다. 몇몇 로마 캠프 및 교외지역은 입증된 비상사태를 제외하고는 그 지역을 떠날 수 없는 상태로 강제 격리되었다. 위험한 상황은 또한 중동에 있는 수십만명의 아프리카와 아시아 이주여성 가정 노동자들에 직면했다. 코로나19로 인해 일부는 갈 곳이 없거나 집으로 돌아갈 수단이 없는 일자리를 잃었고, 다른 일부는 노동기관에 의해 실내에 강제로 구금되거나 고용주와 함께 24시간 내내 실내에서 일해야 했다. 전체적으로 걸프주에 발생한 코로나19 감염자의 70~80%가 이주 노동자였다. 인도 모디정부는 소수 무슬림 인구의 권리를 제거하기 위해 코로나19 보호를 이용했다. 그것은 도시에서 마을로 강제로 이동하게 하면서 적어도 1000명 이상의 노동자들을 사망하게 했다.

 

  • 다. 전염병 이후의 정책

 

프랑스어 politique: 정치와 정책 모두를 의미하고 이념과 전략을 의미하기 위해 비틀 수 있다. 정책은 선택이고, 선택은 정치적이며, 정치는 이념적이고 전략적이다. 팬데믹 이후의 정책을 고려할 때, 우리는 필연적으로 권력과 특권의 웹(복잡한 시스템)에 끌리게 된다. 봉건주의에서 자본주의로 점진적 전환한 이후 두가지 메타 정책 조치만이 성공적으로 시장시스템에 내장된 획득 불평등을 무디게 만들었다. 하나는 생산적 부의 더 많은 몫이 자본보다 노동에 전달될 때, 다른 하나는 정부가 세금으로 부를 재분배할 때이다. 두가지 메타 정책은 신자유주의 굴레 아래서 고통을 겪었고, 두가지 모두 팬데믹 이후 내러티브의 핵심이다.

 

  • 1) 노동 부의 감소

 

노동에 사용되는 세계 경제 제품의 비율은 1980년대 이후 급격하게 감소함. 자본에 사용되는 비중이 어느때보다 크다. 이러한 감소에는 노조화 감소, 아웃소싱, 규제완화, 그리고 많은 국가에서 생산성 증가와 임금 증가간의 역사적 상관관계에 디커플링 등 여러요인이 영향을 미친다. 기업들은 이제 더 적은 인력으로 더 적은 시간 내에 더 많은 것을 생산할 수 있다. 고소득 국가에 있는 많은 사람들의 후속적인 임금정체는 부채로 인한 소비 증가로 이어졌다. 보다 근본적인 방법으로는 신자유주의는 자본축적이 일어나는 방식을 변화시켰다. 은행의 규제 완화와 컴퓨터 기술의 힘은 생산과 소비의 실제 경제가 아닌 투기금융이 자본주의 경제의 주요 동인이 되는 새롭고 불투명한 파생상품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2008년 금융위기는 잠시 멈췄지만, 이 금융화 다이내믹은 멈추지 않았다. 생산과 소비의 고용창출 경제가 불황에 빠졌을때에도 세계 억만장자들이 합법적이지만 도덕적이지 않은 이익을 얻는 이유는 전염병 동안 주식시장의 광란적인 상승 덕분이다.

 

노동권과 노조화 증가, 단체협상축소 입법 폐지, 글로벌 공급망에 걸친 초국가적 노조 창설과 같은 우리가 추구할 수 있는 친노동 정책으로 자본주의를 신자유주의 이전의 금융화된 실제 경제모드로 재설정할 가능성은 없다. 노동에서 자본집약적인 자동화로의 전환은 모든 불황에 따르지만, 인간 노동에 영향을 미치는 일시적인 봉쇄는 글로벌 백신 게시집단 면역이나 풍토가 발생할 때까지 계속될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코로나19 이후 가능성이 더 높다. 그때쯤이면 전염병의 파괴적인 경제변화는 경로로 굳어진다. 그리고 모든 것은 인공지능 출현 전에 고려된 것이다.

 

놀랍지 않게도 전염병은 정부가 시민들에게 세금으로 자금을 지원하는 직접 현금이전인 보편기본소득에 대한 정책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현재 전국 기본소득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국가는 없다. 이란과 몽골이 짧은 시간 하나를 실험했는데 이란의 경우 중위임금의 29%에 해당하는 후한 송금을 제공했다. 중국, 인도, 케냐, 나미비아, 스페인, 독일, 네덜란드, 핀란드, 브라질, 캐나다, 미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실험적인 기본소득(UBI)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일부 논평가와 활동가들은 직접 수입이 전염병의 봉쇄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제공되는 직접지원이 여러 HIC에서 UBI의 빠른 도입을 예고할 것이라 예상했지만 아직 일어나지 않았다. 대신 고소득 국가는 시간제한 소득의 보충, 기존 현금이전의 개선 또는 고용주에 대한 보조금 연장을 시행하여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실직하더라도 노동자의 임금을 유지했다.

 

UBI는 대유행 이후 재정의제의 가장자리를 순환하는 것을 계속할 가능성이 높다. 지지자들은 UBI가 사람들이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와 일을 하지 못하게 할 것이라는 두 가지 주요 불만에 직면할 필요가 있다. 진보적으로 표현되는 우려는 정부가 모든 비현금 복지혜택을 기본소득 지급으로 정리하도록 유혹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게 하는 것은 “주권 개인”이 시장에서 스스로를 방어한다는 신자유주의적 개념과 맞을 것이다. 하지만 시장은 (가격을 통해) 가난한 사람의 주머니에서 마지막 페니를 너무 쉽게 가져올 수 있다. 공공으로 제공된는 보조적 재화와 서비스(교육, 의료, 주택, 교통 등)는 그러한 시장을 포착하기 쉽다. 즉, UBI는 국제노동기구, 노동조합 및 전 세계조직 노동자들이 오랫동안 요구하고 수백개 시민사회 조직 연합이 지원하는 사회적 보호 바닥을 만드는데 필요한 유일한 도구는 아니다.

 

  • 2) 재분배 감소 반전

 

기본소득은 비용이 많이 들겠지만 고소득 국가에서 2008년 금융위기와 이번 팬데믹 동안 은행과 대기업을 유지하는데 쓴 비용의 일부에 불과하다. 그것은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저렴할지도 모른다. 과세 금액과 누진도를 높이면 그 비용의 상당부분을 상쇄할 수 있다. 그러나 노동의 시장 점유율이 감소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부유한 세계와 최근까지 대부분의 LMIC에서 세금 조치로 인해 개인적 욕망을 위해 사적으로 보유하는 비율에 비해 공적 목적을 위해 얻는 생산적 소득의 비율이 감소했다. 몇 가지 지표만 봐도 알 수 있다:

 

  • OECD 평균 상위 한계소득율은 66%에서 43%로 떨어졌고, 현재 전세계 적으로 평균 30%에 불과하다.
  • 법정 법인세율은 2005년에서 2015년 사이 10년만에 전세계적으로 거의 30% 하락했으며, 2020년에는 전세계 모든 지역에서 2010년보다 낮았다.
  • 실제로 납부한 법인세(실효세율)은 기업률의 이익을 전환함에 따라 훨씬 더 낮아서 대부분 조세회피국가로 만든다.
  • 정부가 거둬들이는 세수가 감소함에 따라 기업의 세후 이익이 증가하여 01%의 부 급증에 기여했다.
  • 역외 조세 피난처는 전 세계적으로 연간 2450억 달러의 기업손실과 1820억 달러의 개별 조세회피 손실을 초래합니다. 국가가 s 지속적인 조세 경쟁으로 인한 간접 손실까지 포함하면 연간 법인세 손실액은 9800억 달러에 달한다.

 

조세정의네트워크(Tax Justice Network)가 2020년 보고서에서 말했듯이, “간단히 말해서 현재의 글로벌 조세체계는 분배의 최상단에 있는 이익, 소득, 부의 과세에 대항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2002년과 2019년 사이 17년만에 민간자본에서 실제 달러로 화폐화하는 것이 엄청난 성장을 나타냈다. (상대적이든 절대적이든)그 규모는 충분한 자본이 존재하여, 이미 사람들과 행성에서 필요한 모든 것을 투자할 수 있다. 우리는 그것을 공공용으로 포착해내면 된다. 하지만 이를 도입할 수 있는 세재 개혁이 부족하지 않다.

 

박스 A1.2 세금은 우리가 문명화된 사회를 위해 지불하는 것입니다

 

최근 몇가지 세재개혁이 제기되었음. 팬데믹으로 인한 비용으로 인해

이러한 세금조치가 효과를 발휘하려면 기업이나 순자산이 높은 개인이 최저세율을 찾아 부를 이동하는 것을 막는 글로벌 금융규제를 해야 함.

 

– 부유세: 순자산에 부과하는 작은 부담금/ 1990년에 EU 12개국이 부과했지만 2020년에는 4개국만 부과, 부과국가도 낮으며 세율도 매우 낮음.

– 개인 소득세: 1970년대 OECD 국가의 최고한계세율은 평균 66%였음, 오늘날에는 40%임. 미국의 한 연구에 따르면 현재 최고 세율을 35%에서 68%로 올리면 공공지출 증가를 통해 경제성장을 유지하면서 빈곤과 불평등을 줄일 수 있다. 2014년 연구는 미국이 30만덜러 이상의 소득에 대해 한계율 90%를 적용하면 경제성장률이 약간 감소했음을 의미하더라도 불평등과 빈곤을 줄이고 웰빙과 행복을 개선하는 최적으로 간주했다.

– 간접세: 부가세. 퇴행적으로 간주되지만, 누진적일 수 있음.

– 법인세: 법인세 수입을 늘리는 주요 방법은 조세회피를 줄이는 것이다. 중요 이니셔티브에는 다국적 기업의 이익을 글로벌 규모로 계산하고 실제활동이 이뤄지는 국가간에 분배하는 단일 세금이 포함한다. 이것은 대부분의 이익을 ‘편지함’ 조세피난처 가져간다. 기반교차 및 이익이동을 약화시킬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25%의 최소 실효 법인세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있지만, 이는 결국 15%로 낮췄고, 2021년 말 136개국이 합의했다.

또다른 수단은 초과이익에 세금을 부과하는 것인데 특히 과점이 특정부문을 지배하는 경우 7.5%를 초과하는 이익에 대해 50~80%의 세금을 부과하는 제안이 있다.

이러한 세금은 1, 2차 세계대전 동안 미국과 영국을 포함한 국가들이 사용했으며 현재 팬데믹 폭리를 줄이거나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안되었다. 디지털 서비스에 대한 세금이 널리 고려되고 있으며 영국, 유럽 및 일부 국가에서 시행하고 있다.

– 금융거래세: 위 세제개혁은 모든 국가에서 실행가능하지만 대부분 부의 거주지는 부유국이다. 이와같이 이러한 개혁은 그 자체로 중저소득 국가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고 세계적인 불평등에 타격을 주지 않는다. 개별한계세율과 단일 다국적 세금은 동일하게 적용된다. 차익거래를 늦추는 방안으로 40년 넘게 논의중인 아이디어인 금융거래세(FTT)를 입력해보자. 60개 이상 국가를 FTT의 아이디어를 지지했지만 그것에 대해 행동하는 국가는 거의 없다. 유럽은 연간 최대 570억 유로를 창출할 수 있는 하나를 공식화하기 위해 여전히 노력중이다. 전 세계적으로 0.01%가 적용되면 연간 최대 4200억 달러를 조달할 것이다. 0.05%로 회피를 방지하기 위해 엄격하게 시행하면 총 금액은 8조달러를 초과할 수 있다. 기후변화에 관한 중저소득 국가의 부담 비용을 만회할 수 있다. 그렇게 하는 것은 ‘아무것도 남겨두지 않겠다’는 오랜 약속에 의미를 부여할 것이다.

 

이러한 세제 개혁 중 일부만 추진력을 구축하려면 시간과 상당한 로비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그들은 단지 정치를 의미하는 정책일 뿐이며, 이는 그들의 금박을 입고 자유화된 크레파스가 끝나는 것을 좋아하지 않을 수 있는 엘리트들의 힘에 맞서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일부 사람들에게는 현대 화폐이론의 더 즉각적인 경이로움이 있다. 통화이론은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저주로 간주하고 1970년대 스태그플레이션에 대응하여 금리 충격을 사용하여 그 과정에서 개발도상국 경제를 파괴했다. 그리고 2008년이 왔다. 은행가들의 과도한 탐용으로부터 세계 경제를 구제하는데 직면한 몇몇 HIC는 중앙은행이 상업적 은행 자산을 매입하는 양적완화를 수용하여 은행의 대차대조표를 다시 부풀리고 금리를 거의 0에 가깝게 낮췄다. 시중 은행들이 기업과 개인들에게 새롭게 대출하여 대기 중인 생산/소비 경제를 활성화 할것이라는 생각이었다. 하지만 많은 은행들은 새로운 자금을 자체 투자에 사용하는데 더 관심이 있었고, 이는 현재까지 지속되는 주식거품시장을 만드는데 도움이 되었다.

 

대유행이 돌입하고 제로에 가까운 금리 상태에서 양적완화가 팬데믹의 경제적 여파를 스스로 해결할 가능성은 낮다. 그러나 자국의 국가통화와 중앙은행을 보유한 국가들은 경제적 위험이 거의 없이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는 부채 융자를 할 수 있다. 이 현대통화 이론의 본질적인 특징은 중앙은행들이 정부 부채를 무한정 구매하기로 약속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정부가 큰돈을 쓸 수 있게 해준다. 부채는 정부가 소유한 중앙은행이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유일한 단점은 바람직하지 않은 인플레이션율로 회귀하는 것이다. 통화이론을 호출한 부유국에서 인플레이션율은 2005년초 이후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연방정부가 2020년 3월부터 3000억 달러 이상의 감염병 구조지출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매주 50억 달러의 부채를 발행하고 있는 캐나다에서, 캐나다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이 앞으로 수년 또는 수십년 동안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한다. 미국 중앙은행은 금리를 제로에 가깝게 유지하면서 당분간 막대한 미 국채 매입을 지속할 방침이다. 공공부채가 국가 통화로 되어 있고, 부실위험이 거의없는 한 국채발행은 무한정으로 지속될 수 있다. 기간은 길수록 더 좋다. 유로는 2058년 까지 만기가 연장된 7500억 유로(약 1000조 원) 민간이 구매 가능한 채권을 발행하고 있다. 회원국의 재정 적자는 하이브리드 형태로 유럽중앙은행이 보유한다.

 

전염병의 즉각적인 경제적 파괴를 대처할 수 있는 이러한 선택권을 가진 나라는 거의 없다. 대부분 특히 중저소득 국가들은 팬데믹 충격을 벗어나기 위한 자금조달에는 미국 달러로 표시되는 더 많은 외국 부채를 떠안는 것이 포함된다. 잠비아는 팬데믹으로 인해 채무 불이행한 첫 번째 국가이며 최소한의 외국 부채 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해 보건 및 사회보호 지출을 감축하고 있다. 다른 가난한 나라들은 곧 부채 상환 유예 또는 감축에 대한 세계적 요구를 다시 제기하면서 같은 위치에 설 것이라는 두려움이 있다. g20 국가들은 일부 완화를 제안했지만 일시적일뿐이며, 충분하지 않는다. 그리고 민간 채권자들은 참여를 거부하고 있다.

 

그러나 통화이론 기능을 가진 소수의 특권층에게도 특히 팬데믹 이후의 재부팅이 공급을 초과하기 시작하면 새로운 가격 상승 라운드를 시작할 소비자 수요를 활성화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경우 인플레이션이 결국 시작될 수 있다. 2021년 중반 현재 고소득 국가의 인플레이션 상승 징후가 이미 존재하고 있으며 코로나19 백신 접종률이 높은 일부 지역은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넘어옴에 따라 정부는 중앙은행의 채권매입 관행을 풀기 시작하고 있으며, 금리는 인상할 가능성이 있다. 통화이론(MMT)은 민간자본의 유성상승과 공공자본의 상대적 감소라는 보다 체계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대체물이 아니다.

 

  • 3) 미래를 다시 가꾸기

 

전염병과 봉쇄의 초기 몇 달 동안, 세계의 화석연료에 의한 소비는 저조했다. 스모그는 걷혔다. 히말리야 산맥은 인도 사람들에게 다시 보여진다. 베이징 상공은 맑아졌다. 자동차 왕래가 거의 없어졌다. 그러나 유전과 탄광에서의 작업은 중단없이 팬데믹으로 인해 규제가 완화되었다. 녹색 성장이라는 레토릭은 대부분 국가별 포스트팬데믹 계획에 들어있지만 대부분 경기부양책은 득보다 실이 많을 가능성이 높다. 두가지 연구는 특히 두드러진다. 첫 번쨰 연구에 따르면 G20국가들은 전체적으로 에너지 회수 패키지의 53%를 화석연료에 투자하고 있으며 35%만이 깨끗한 자원에 투자하고 있다. 그 중 대부분은 여전히 큰 생태학적 발자국을 가지고 있다. 탄소 산업을 구제하는 공적자금의 양에 있어서 미국과 영국은 최악의 결과를 보였다. 모든 경기부양 지출에 적용된 두 번째 연구는 EU가 가장 녹색이며, 프랑스 스페인 영국, 독일이 잇는다고 발표했다. 캐나다는 중립적이었으며 타르 모래 퇴적물은 녹색 부양책을 끌어내렸다. 새로운 탄광을 개발하고 환경집약적인 산업에 자금을 대겠다는 인도의 결정은 규모가 큰 재녹지 투자를 압도하였다. 중국의 일대일로 구상과 지속적인 석탄산업화는 긍정적인 환경 지출을 능가해 2060년까지 선언한 탄소중립 공약에 도전적인 상태다. 미국은 또다시 점수가 좋지 않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것을 바꾸기를 희망한다. 2019년 민주당은 건강 및 사회보장, 교육기회, 주택 보장 및 고용보장에 대한 공약과 주요 환경 목표를 결합한 수십억 달러 규모의 다년도 그린뉴딜을 추진해 왔다.

 

  • 100% 재생가능한 에너지
  • 2050 탄소제로
  • 수요 및 오염을 줄이는 인프라 개선
  • 운송부문의 정비
  • 녹색 기술 분야 고용창출
  • 농업 오염 및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

 

그린 뉴딜이 완전히 이행된다면 세계적인 그린 레이스를 최고로 끌어올리는 변혁적인 변화가 될 것이다. 만약 공적자금에 예상되는 5조달러의 민간투자가 더 합류한다면 미국은 재녹지 대담성에서 유럽을 추월할 것이다. 약점은 공화당이 2020년 주선거에서 선전했고, 민주당이 가까스로 상원을 장악했지만 새 행정부가 지금 매우 시급하게 필요한 급진적인 환경정책을 시행하기는 어렵다. 미국의 2021년 예산에서 기후변화를 위해 360억 달러만 제안했다. 바이든 행정부의 후속적이고 아스슬하게 승인된 3조 5천억 달러의 Build Back Better(더 나은 재건)계획은 녹색에너지, 기후변화 완화 및 기후변화기술을 위해 5550억 달러를 보유하고 있지만 2조달러로 축소되었다. 트럼프의 급진 우파 공화당의 유산에서 살아남는다면, 그것은 건설해야 할 실질적인 플랫폼이지만 그러한 건설은 신속해야 한다. 존 케리 미국 기후특사는 순제로에 도달하기 위해 감축량 50%는 아직 없는 기술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과학자들에게 들었다는 발언처럼 우려도 있다. 이 비과학적인 예측은 기술의 첨단을 다듬는 것으로 충분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위안이 될 수 있지만 그것으로 혁신적인 변화를 예고하지 않는다.

 

대서양 전역에서 EU의 수조유로 규모의 차세대 복구 기금과 유럽 그린딜은 많은 환경단체들에 의해 경기부양지출의 30%를 탈탄소 목적으로 약속하는 포스트 팬데믹 계획 중 가장 친환경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미국의 그린 뉴딜 및 다른 많은 국가들의 약속과 유사하게 2050년까지 탄소중립 목표를 가지고 있지만 미국과 달리 법적 구속력이 있다. 그것은 또한 순환경제로의 전환과 농업관행의 녹색 지속가능성을 개선하기 위해 ‘농장대 포크’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5개년 목표를 가속화했다. 이 마지막정책은 수십년 동안 저소득 국가의 식품 수출에 상당한 해를 끼쳐온 유럽연합의 공동 농업 정책에서 현재의 친환경적이고 정치적으로 부과된 많은 농업 보조금을 취소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가장 강경한 것으로 판명될 수 있다. 그러나 미국의 그린뉴딜과 마찬가지로 유럽 계획은 특히 폴란드, 헝가리라는 두 회원국의 급진적 우파포퓰리즘에 의해 훼손될 수 있다. 유럽연합의 연간 증가된 예산요구사항인 2600억 유로는 기후변화 야망을 충족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이는 27개 회원국에서 걸쳐 8550억 유로의 신규 연간 투자가 필요하다. 이는 많은 양이지만 여전히 달성할 것으로 간주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가지 계획과 다른 여러 국가에 걸친 덜 야심찬 버전은 유명한 조심스러운 낙관론의 이유를 제공한다. 노동자들의 미래에 대한 노동계의 우려와 잠재적인 동맹은 화석연료 및 관련 산업보다 녹색기술과 효율성 개선에서 창출되는 달러당 훨씬 더 많은 일자리에 존재한다. 심지어 가장 부유한 국가들도 환경회복을 위한 것이든 많은 사람들의 건강, 교육, 복지 요구를 위한 것이든 간에 돌봄업무에 적자가 발생한다. 관리 작업은 탄소집약도가 매우 낮다. 그래서 대부분의 활동가들이 지지하는 대유행 이후에 시행계획은 도넛 생태계 외곽과 사회정의 내부에 동시에 관심을 기울이는 에코저스트eco-just fh 브랜드해왔다.

 

그러나 우리의 신중한 낙관론에는 몇가지 완화된 경고가 있다.

  • 주요 배출팩 중에서도 중국, 인도, 브라질이 더 많이 참여해야 한다. 인도와 중국이 2021년 11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6)에서 2050년까지 석탄사용을 단계적으로 줄이기로 합의하면서 막판에 완화하는 것은 지구를 구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고 주장된 것에서 발생하는 긴급한 우려 중 하나이다.
  • 전 세계적으로 많은 국가들이 대유행 이후 회복지출에서 클린에너지 섹터보다 화석 집약적 산업에 다 많은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는 우려가 있다.
  • 중저소득 국가가 미국 및 유럽과 비교할 때 여전히 낮은 배출자에 속하지만 이를 따르도록 지원하는 것은 거의 없다.
  • 기후변화는 우리의 존재론적 생태위기 중 하나일 뿐이지만, 2021년 IPCC보고서가 무섭게 분명히 밝혔듯이 우리가 이번 위기를 실패한다면 나머지는 아무것도 중요하지 않다. 그러나 정책과 활동가들의 관심은 기후변화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을 피해야 한다.
  • 대부분의 재녹지 패키지는 기술혁신에 크게 의존하지만, 소비유발적 경제가 지속가능하지 않은 고려사항은 덜 하다.
  • 최고의 기업 조차도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세계녹생에너지 및 기술 부문에서 글로벌 경쟁을 지배하려는 열망을 기반으로 계획을 판매한다.

 

탄소배출 감소와 분리하여 경제성장 전략으로 재녹지에 초점을 맞추는 것의 한계는 두 계획에서 그리고 많은 다른 국가의 계획에서 전기 자동차를 홍보하는 것에 중점을 둔 것에서 가장 분명하다. 전가치는 파리협정 약속을 이행하는데 가장 중요한 성과다. 그들은 정부가 자동차 공장 노동자들이 재배치되도록 지원해하고 인프라 부양자금을 도로와 다리를 고치는데에만 쓰고 EV 주유소를 만들 수 있도록 했다. 그러면 탄소배출은 감소할 거다.

하지만 EV는 배출가스가 없는 것이 아니다. 많은 모델이 생산과정에서 기존 자동차보다 더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한다. 차량 수명에 따른 배출량은 더 낮아지겠지만 전기도 탈탄소가 아닌 석유, 석탄, 가스발전을 가반으로 하지 않는 경우에만 해당한다. 또한 전기배터리 재료 공급이 부족하여 전기차 우선순위가 개인보다는 대량 운송차량에 우선해야 한다는 주장도 많다.

 

각 대체자원에 필요한 막대한 물질 처리량과 자체 부정적인 환경외부효과를 해결하지 않고 강에 댐을 설치하고 풍력터빈을 설치하고 화석연료 에너지를 대체하기 위해 태양에너지 필드를 설치하는 것은 단기적 문제 해결이다. 순수 에너지 소비수준도 크게 떨어지지 않는 한, 과소리를 하는 북반구의 에너지 소비수준은 과소비가 될 것이다.

 

  • 라. 자본주의 길들이기?

 

민주주의는 평등주의이다. 자본주의는 불평등하다.

마틴 울프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자본주의는 불평등하다. 그럼 대체할 수 있을까?

팬데믹은 대안이 실행가능해질 만큼 충분한 규모의 위기일까?

불평등의 교활함, 생태적 임박함, 그리고 이로 인한 대규모 인류 이동이 팬데믹 이후의 재부팅이 아니라 완전한 재설정을 야기할까?

 

팬데믹 이후의 세가지 미래를 제안(전망)한다

  1. 신자유주의 귀환: 좀비, 원시, 돌연변이
  2. 권위주의적 정부(시민통제, 불만 통제), AI를 통한 감시국가의 확대
  3. 성장, 성장, 성장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 처음 두가지 미래는 제쳐두고 현재 정부 정책결정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것은 세 번째이다. 이것은 자본주의가 길들여질 수 있다는 가정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실제로 이 챕터에서 논의된 대부분의 팬데믹 이후의 정책은 이와같은 성격을 가지고 있다. 즉, 공공 행정이 우리의 세가지 생명존재 위기에 대처할 수 있는 가능한 개입의 조합이다. 이러한 길들이기 정책은 자본주의를 약간 수정하지만 더 구속력있는 사슬에서 벗어나려고 하지 않는다. 다른 더 체계적인 옵션도 존재하며, 이는 A3에 탐구되는 주제이다.

 

그러나 ‘길들이기’하든, 아니면 자본주의를 더욱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든 상관없이, 2020년 유엔무역개발회의 보고서에서 강조한 바와 같이 현재의 상황을 그대로 두는 것은 목표가 될 수 없다.

 

“과거의 상태로 돌아가는 것은 의미가 없으며, 지금은 비극과 희극이 혼합된 방식으로 역사가 반복되고 있어 이 문제에 대한 대처가 긴급하다.“

 

노트

  1. 2021년 8월 19일 코로나19로 440만명 사망자 보고, 공식적으로 보고된 사망자 수는 밑도는 것으로 간주된다. 한 예로 인도 사망자 수는 공식 사망자 10배로 추정한다.
  2. 빈곤 데이터는 성인 1명 부양하는데 필요한 최소양의 가치를 계산되었다. 세계은행의 1.9달러는 가난한 국가의 극단적 빈곤선이다.

[글로벌 헬스 와치 6판 요약 발제문] 서론

한국민중건강운동은 2023년 3월 6일부터 7월 10일까지 [글로벌 헬스 와치 6판: 팬데믹의 그늘에서] 함께 읽기 세미나를 진행합니다. 세미나에 함께 하지 못하는 분들과도 책의 내용을 함께 나누고자 요약 발제문을 차례로 올립니다.

글로벌 헬스 와치 6판 함께 읽기 세미나 안내문 바로가기

 

 

발제 일자: 2023.03.06 / 발제자: 시민건강연구소 김선

 

# 글로벌 헬스 와치(Global Health Watch)

  • 민중건강운동(PHM) 등 글로벌 시민사회단체들이 시작한, 건강 영역에서 신자유주의적 지배질서에 저항하는 플랫폼. 공중보건 전문가, 비정부 조직, 시민사회 활동가, 지역사회 단체, 보건의료 노동자, 연구자의 협력으로 만들어짐. 6판의 경우 People’s Health Movement, Medact, Third World Network, Health Poverty Action, Medico International, ALAMES, Viva Salid, Sama가 공동으로 만듦.
  • 비판적인 건강의 정치경제 프레임웤.
  • 수십명 “기여자(개인 혹은 그룹)”의 무보수 공동작업. 개별 저자권은 표기하지 않음. 
  • 2인의 공동편집자가 이끄는 편집위원회(총 8명)는 내용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는 한편, 서로 다른 기여자들의 목소리, 언어, 용어선택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함. 모두가 참여하는 글로벌 건강운동은 일정한 신념을 공유하지만, 또한 이질적이며 그 다양성은 우리가 추구하는 강점이기도 함. 

 

# 민중건강운동(People’s Health Movement, PHM)

 

# 6판 목차 (이전 판과 유사)

  • 서론
  •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글로벌 정치경제 정책 검토
    • A1장: 팬데믹 이전의 병리학에서 팬데믹 이후의 희망으로
    • A2장: 코로나19 시기의 젠더 불평등: 남반구의 관점
    • A3장: 비윤리적 성장에서 윤리적 탈성장으로: 자본주의는 변혁될 수 있는가?
  • 보건의료체계: 글로벌 정치경제 정책의 보건의료체계에 대한 영향
    • B1장: ‘보편적 건강보장(UHC)’과 ‘일차보건의료(PHC)’
    • B2장: 국제보건 2.0? 디지털 기술, 혼란, 권력 (*보론: 한국적 맥락)
    • B3장: 보건의료 그리고 은밀한 코로나19 민영화 (*보론: 한국적 맥락)
    • B4장: 의약품접근권의 오래된-새로운 정치 (*보론: 한국적 맥락)
    • B5장: 정신건강 돌봄 지구적으로 변혁하기 
  • 건강의 사회적이고 환경적인 결정요인
    • C1장: 긴축 재연 (*보론: 한국적 맥락)
    • C2장: 불평등한 노동 시장이 불평등 팬데믹을 만나다
    • C3장: 건강의 상업적 결정 요인에 맞서기
    • C4장: 발전 모델, 추출주의, 환경: 지구적 저항 조직하기
    • C5장: 건강한 사람, 건강한 지구를 위해 식품 시스템 변혁하기
    • C6장: 코로나 시대의 분쟁과 건강
  • 글로벌 기구 “감시”: 거버넌스와 의사결정이 지역사회의 건강, 삶, 생계와 지구의 웰빙에 영향
    • D1장: 세계보건기구(WHO)와 팬데믹의 정치
    • D2장: 경기장 이동하기: 새로운 무역 조약이 정부들을 통치하는 방식 (*보론: 한국적 맥락)
    • D3장: 국제연합(UN), 글로벌 거버넌스, 그리고 및 자금지원 실패의 피해
    • D4장: 국제 금융 기관 감시하기: 새로운 수사학, 오래된 관행?
    • D5장: 세계경제포럼(WEF)의 ‘위대한 리셋’
  • 결론: 건강(정의)을 위한 투쟁에서 권력 키우기: 건강 활동가들에 대한 촉구
  • 6판 목차에서 이전 판과 다른 점: 저항과 사회운동의 이야기를 마지막 별도 섹션으로 다루는 대신 책 전체에서 통합함. 
  • 6판 시리즈 팟캐스트

 

# 서론

  • 1판(2005): 세계화가 약속했던 건강/부 편익 달성에 실패한 데 대한 비판 시작.
  • 2판(2008): WHO의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위원회(CSDH) 보고서가 발간된 같은 해. 글로벌금융위기가 도래하기 직전에 발간. 
  • 3판(2011): 글로벌금융위기의 즉각적 여파를 조사하면서, CSDH의 발견과 전 세계 공중보건당국의 빠른 수용에 힙입어, 정치지도자들이 붕괴 직전의 공적(정부) 구제 이후 필요했던 글로벌 경제의 근본적 재구조화를 고려하기를 기대함. 
  • 4판(2014): 전 세계 정치경제 엘리트들이 글로벌금융위기의 변혁적 함의를 쫓는데 실패하면서 유독한 신자유주의적 경제 통설로의 빠른 회귀를 목격함. 이후 두 가지 역사적 협정이 합의됨. 모든 국가에 보편적으로 적용가능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그리고 기후변화 온도를 인류가 생존할 수 있는 범위 내로 유지하기 위한 온실가스 배출 목표를 약속하는 파리협정. 
  • 5판(2017): 이러한 배경에서 GHW 5판은 더 건강한 미래에 대한 약간의 낙관을 표함. 동시에 위기에 놓인 지구의 생태적 지속가능성에 달려 있는 인류의 공평한 건강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구조적 조건을 지속적으로 약화시키는 끈질긴 정치경제 질서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유지함. 
  • 6판(2022): 또 다른 중요한 글로벌 단계, 코로나19 팬데믹. 지난 GHW들이 전 세계 건강의 상황을 평가한 15년 이상 기간보다도 더, 이 팬데믹은 건강을 위해 필수적인 자원에 대한 접근에서 지구적 불형평의 깊이, 이것이 우리의 미래 생존에 제기하는 위험을 드러냄. 부유한 세계가 팬데믹의 그늘로부터 벗어나고 있지만, 빈곤한 세계 대부분은 앞으로 2년 혹은 그 이상, 심지어 훨씬 더 오래 그럴 것 같지 않음. 

 

지구적이고 정치적인 구조 (2.5)

  • A1장: 팬데믹 이전의 병리학에서 팬데믹 이후의 희망으로
    • A1장은 코로나19가 가져온 지구적이고 정치적인 격변의 상당 부분을 팬데믹 이전의 세 가지 “실존적” 추세의 지속에서 찾는다. 경제적 불형평의 확대, 생태적 영향의 악화, 빈곤/분쟁/기후위기 혹은 이 세 가지 고통 모두의 완화를 구하는 사람들의 운동의 성장이 그것이다.
    • 코로나19는 근래의 신자유주의적 지배질서의 역사가 인류의 많은 부분을 불공평한 위험에 빠뜨린 정도를 무시하거나 묵살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아이러니한 것은, 부유한 세계가 팬데믹 영향을 받은 사업과 노동력을 공적으로 재정을 지원하는 능력이 글로벌 금융공간에 너무나 많은 새로운 돈을 창출함으로써 그것을 자본화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이들이 엄청나게 더 부유해 졌다는 점이다.
    • 잠시 동안, 글로벌 공급망의 붕괴는 화석 연료 산업화의 거대한 흐름을 늦추거나 중단시켰고, 지구는 순간적으로 안도의 숨을 내쉬었다.
    • 그러나 이 안도는 매우 순간적이었다. 2021년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IPCC)의 6차 보고서는 우리에게 재앙적인 정점을 피할 수 있는 시간이 몇 년밖에 남지 않았다고 경고했다. 기후로 인해 위험에 처한, 분쟁으로 인해 쫓겨난, 난민지위를 구하거나 빈곤으로부터 도망치는 수백만명의 사람들을 위한 정책들은 여전히 가장 취약한 사람들을 보호하는 데 실패하고 있다.
    • 이 장은 긍정적인 변화의 신호도 제공한다. 지난 2년간 자국 경제와 사회를 하나로 묶기 위해 고소득 국가가 들인 시간을 계기로 마침내 국가적이고 지구적인 조세 개혁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물론 제안된 글로벌 법인세의 최저 수준(15%)은 너무 낮고, 기업들은 여전히 이를 회피할 수 있을 것이며, 수익의 대부분은 고소득 국가에 돌아갈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시작이다. 최저 소득세와 부유세에 대한 운동이 절실히 필요하다. 
    • 국가들은 “녹색”이 되기 위해 경쟁하고 있고, 비록 녹색 경제 조치가 제한적이고 지구 생태계의 시점에서 깊은 결함이 있더라도, 그것들은 활동가들이 붙잡을 수 있는 변화의 플랫폼을 만들어낸다. 
    • 그러나 이 백신 아파르트헤이트의 세계에서 이러한 이니셔티브로부터 얻을 수 있는 잠재적 이익이 박탈된 사람들에게 도달하는 데는 시간이 걸릴 것이다.
  • A2장: 코로나19 시기의 젠더 불평등: 남반구의 관점
    • 이러한 박탈은 또한 강하게 젠더화되어 있다. 이전 GHW에서처럼 젠더는 성·재생산 권리와 관련된 주제일 뿐 아니라 이 장에서는 젠더 차별과 억압의 다중성과 교차성을 드러내기 위해 노력한다.
    • 코로나19가 보건의료, 사회서비스, 가사 노동자로서의 역할에서 여성에게 어떻게 불균형적이고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는지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남반구, 특히 남아시아의 젠더화된 팬데믹 불평등에 초점을 맞춘다.
    • 이 장은 젠더 기반 폭력이라는 “팬데믹의 그늘”에 대한 분석을 통합하면서, 이를 시스젠더 여성을 넘어 트랜스, 인터섹스, 논바이너리를 포함하는 젠더 정체성 스펙트럼으로 확장한다. 이들 모두는 주변화될 가능성이 더 높다. 
    • 이 장은 또한 젠더 권리에 대한 두 가지 운동의 서사를 서술한다. 브라질의 급격한 우경화에 저항하는 페미니스트 캠페인, 임신 14주까지 자발적 낙태의 합법화를 이끈 아르헨티나의 성공적인 “녹색 물결” 캠페인이 그것이다.
  • A3장: 비윤리적 성장에서 윤리적 탈성장으로: 자본주의는 변혁될 수 있는가?
    • “녹색 회복”에 대한 이야기가 많지만, 전반적인 생태자원 추출이나 인구 증가를 줄이겠다는 확고한 약속은 거의 없다. 실제로 인구 고령화가 진행 중인 여러 국가는 인구 피라미드 중간의 “생산가능 연령” 부분을 지속적으로 성장시키기 위해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인센티브를 고려하고 있다. 더 적은 사람들에게 적절히 제공하기 위해 경제를 개혁하기 보다는, 마치 지속적으로 경제를 유지하기 위해 더 많은 사람들이 있어야 한다는 듯 말이다.
    • A3장은 “탈성장”이라는 도발적인 개념을 살펴봄으로써 이를 정면으로 다룬다. 이는 북반구(및 남반구의 엘리트)를 엄격한 다이어트를 시키고, 인구 규모가 지구의 생태학적 한계 내에서 유지될 수 있는 수준을 초과하지 않도록 함을 통한 ‘인류 총 소비의 관리된 감소’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는 자본주의의 본질적인 “소비 유발적” 경제 모델, 즉 “성장, 성장, 성장”이라는 주문이 새로운 것이 생산·소비되는 속도, 에너지를 쏟아붓는 속도, 상품을 쓰레기 더미에 던지는 속도에 기초하는 모델의 급진적인 해체가 필요할 것이다.
    • 그러나, 자본주의 성장 지표에 대한 대안에서부터 순환 경제에 이르기까지, 노동 시장 개혁에서부터 자원 소모가 적은 “돌봄” 노동의 강조 및 적절한 가치 평가에 이르기까지 이 모델에 대한 여러 대안이 지역 규모에서 이미 실행되고 있다.

보건의료체계 (3)

  • B1장: ‘보편적 건강보장(UHC)’과 ‘일차보건의료(PHC)’
    • 과거 GHW는 알마아타 원칙과 “모든 이에게 건강을”이라는 명확한 요구를 제기하면서 모두에게 양질의 건강 서비스를 공평하게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 많은 문제를 설명하는 데 상당한 시간을 보냈다. 
      • GHW 1판은 알마아타 원칙의 중요성과 그것의 일차보건의료(PHC) 접근법에 대한 의미를 상기시켰다. 1판이 강조한 공공/민간 문제(그리고 보건의료 상업화에 내재된 위험)는 이번 판에도 남아있다.
      • 이후의 GHW는 이주민의 건강, 보건의료체계 재원 조달, 보편적 건강 보장(UHC)의 문제적 상승, “은밀한 민영화”라는 새로운 공공 관리, (시장 중심적인 접근법에 반대되는 것으로서) 더 국가 중심적인 접근법에 대한 특정 국가들의 반대 역할 등 이러한 문제의 다양한 단편들을 분석했다. 
    • 이번 GHW6의 B1장은 UHC가 어디에나 있고 PHC가 주변부에 갇혀 있다는 것을 발견한 UHC/PHC 논쟁의 글로벌 상태에 대한 시간에 따른 분석을 제공함으로써 이전 GHW를 기반으로 확장한다. 
    • 이 장에서는 UHC의 ‘아이디어’에 본질적으로 잘못된 것은 없지만, 그것의 재원 조달에 대한 초점, 그리고 민간 공급자의 역할을 증가시키는 것(그러나 언제나 국가의 재정 지원이라는 안전장치와 함께)의 단점에 대한 불가지론은 공평한 건강의 UHC 구현으로 이어지지 않았다고 지적한다.
  • B2장: 국제보건 2.0? 디지털 기술, 혼란, 권력 (*보론: 한국적 맥락)
    • 보건의료 민영화에 초점을 맞춘 두 장 사이에 끼어 있는 이 섹션의 2장은 새로운 GHW 주제를 소개한다. 즉, 건강을 포함한 사람들의 삶의 대부분에 닿아 있는 디지털화 혁명에 대한 상세한 탐구이다. 디지털 기술의 “파괴”(빅데이터 및 빅브라더 기업 또는 국가 감시에서부터 인공지능(AI)의 성장에 대한 종말론적 또는 세속적 편향 우려에 이르기까지)는 보건의료체계 내에서 잠재적인 편익과 위해를 모두 가지고 있다. 
    • 과거 GHW는 의료 기술의 비용, 통제, 기밀성 문제 또는 새로운 의료 제품에 대한 공평한 접근에 대해 지나가듯 주의를 기울였을 뿐이었다. B2장은 그러한 기술이 어떻게 보건의료체계를 개혁하고 있는지(또는 곧 개혁할 수 있는지)에 대해 GHW가 깊이 조사하는 첫 번째 사례다. 
    • 이 장은 디지털 기술의 그럴듯한 이점(더 많은 “맞춤형 의료”, 개선된 건강 결과, 절감된 비용, 더 나은 의료의 질, 권력강화된 “환자”)을 인정한다. 비록 적어도 현재로서는 이에 대한 증거가 부족하긴 하지만 말이다. 
    • 이 장은 “감시 자본주의”, 빅테크의 소유권 및 폭리의 부상에서부터 깊은 글로벌 “디지털 격차”를 고착화할 위험에 이르기까지, 디지털 기술의 복잡한 개인정보보호 측면의 단점을 보다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 이 장은 또한 빅테크 기업이 코로나19의 여파로 발생하는 새로운 보건의료 시장 기회를 발견함에 따라 팬데믹이 정부와 빅테크 기업 간에 더 편안한 관계를 장려하는 방식을 자세히 설명한다. 이는 디지털 혁신보다 너무 뒤쳐지는 디지털 거버넌스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게 한다. 기업이 글로벌 공공재에 대한 독점권을 주장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에서 “오픈 소스” 디지털 활동가 운동이 직면한 도전에 주목하면서 말이다.
  • B3장: 보건의료 그리고 은밀한 코로나19 민영화 (*보론: 한국적 맥락)
    • 민영화에 대한 경계, 반대, 지속적인 지구적 싸움의 중요성을 제시하는 이 장은 보건의료 민영화를 대부분의 “공공재” 부문에서 일어나는 민간 재원조달 및 서비스 제공이라는 보다 광범위한 침식 내에 위치시킨다.
    • 이 장은 이전의 보건의료체계 민영화(그리고 예방적 공중보건 예산의 축소)로 인해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국가 중 일부조차 코로나19에 대해 준비가 부족하게 된 과정을 설명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소름끼치게도, 그것은 어떻게 팬데믹이 공적 재원조달의 축복을 받은 민간 행위자들로 하여금 격리 숙소, 코로나19 특수 병동, 접촉 추적 앱을 운영하는 것에서부터, 이미 국가의 민간 의료 부문에서 운영되고 있다면, 감염병 추가 보상 및/또는 관대한 정부의 운영 보조금 혜택을 받는 것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할 수 있는 축제일이 되었는지를 보여준다.
    • 공공 혹은 비영리 보건의료 시설이 팬데믹 대응을 언제나 잘 해왔던 것은 아닐 수 있지만, 그들은 일반적으로 민간 시설보다 성과가 낫다. 코로나19 초기와 현재도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인구집단인 고령자의 돌봄의 경우 특히 그렇다.
    • 팬데믹에 대처하는 데 드는 높은 공적 비용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공공보건의료 체계를 크게 강화할 수밖에 없다. A1장에서 지적했듯이, 그렇게 하기 위한 글로벌 부는 충분하다. 유용한 공적 목적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민간의 손에 묶여 있을 뿐이다.
  • B4장: 의약품접근권의 오래된-새로운 정치 (*보론: 한국적 맥락)
    • 디지털 기술과 마찬가지로 독점권에 대한 우려는 B4장의 핵심에 있다. 의약품에 대한 접근에 장벽을 만드는 데 있어 무역협정의 지적재산권 보호 역할이라는 GHW의 가장 자주 등장하는 보건의료체계 과제 중 하나다.
    • 이 장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의약품(특히 백신) 접근의 불평등이 극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접근의 위험한 상태(저소득 집단 또는 국가의 경우, 의약품 비용은 여전히 가장 큰 주머니에서 나가는 보건의료 비용임)를 업데이트한다. 고소득 국가들은 사전 시장 구매에서 백신 공급을 그러모았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의료 제품(치료제, 진단기기)에서도 마찬가지로 행동했다. 근본적 원인 중 하나는 세계무역기구(WTO)의 무역 관련 지적재산권 협정(TRIPS)에서 처음 개발된 후 양자/지역 무역협정에서 강화된 글로벌 지재권(IPR) 레짐이다.
    • 이 장에서는 빅파마가 백신 특허나 기술 공유를 거부하는 저속한 이야기(백신 비용의 상당 부분이 공적으로 자금을 지원받거나 정부의 사전 구매 계약을 통해 보장받음에도 불구하고)와, 초기에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인도가 주도한, 백신의 빠른 생산 확대를 촉진하기 위해 주요 TRIPS 규칙을 일시적으로 유예하도록 추진하려는 중·저소득 국가의 노력을 검토한다.
    • TRIPS 유예는 시작이지만 코로나19 백신이나 건강 제품에 대한 불공평한 접근 자체를 즉시 해결하지는 못할 것이다. 그리고 TRIPS와 “TRIPS-Plus” 지적재산 제도에는 다른 규제적 문제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예 캠페인은 전 세계 건강 활동가들에게 “지식 공유지(커먼즈)”의 소유권, 통제, 관리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변화를 만들 수 있는 잠재력과 옹호 플랫폼을 제공했다.
  • B5장: 정신건강 돌봄 지구적으로 변혁하기 
    • 이 섹션의 마지막 장 B5는 팬데믹 상황에서 중요성이 증가하는 문제인 정신건강을 다룬다. 코로나19의 심리사회적 후유증은 특히 락다운, 휴교, 불확실한 미래로 인해 사회화 절정기가 닫혀버린 젊은 사람들에게 점점 더 오래 지속되는 건강 문제 중 하나로 간주되고 있다. 
    • 과거 GHW는 사회적 불평등과 관련된 정신건강 문제의 단편들, 2008년 금융위기의 여파, 급증하는 “정신 질환” 목록을 약물로 치료하려는 서구 생의학의 경향에 대한 비판을 다뤘다. 
    • 마지막 주제는 이번 GHW6에서 다시 다뤄진다. 정신건강에 대해 생의학이 가져온 편익 일부를 인정하면서도, 일차예방(체계 수준에서 정신 불건강의 결정요인을 다루는 것)과 약물/시설수용을 대체하는 대안적 치료법 사용(일선 보건의료 제공자와 동료 지지 네트워크에 의한 심리사회적 개입 등) 확대의 중요성을 논의한다. 이와 같은 전략은 정신건강 종사자의 부족을 극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는 B1장에 설명된 글로벌 보건인력 부족의 또 다른 눈에 띄는 사례로, “돌봄 경제”에 기반한 팬데믹 이후 회복에 투자하자는 A3장의 주장을 강화한다.

보건의료를 넘어 (3.5)

  • 비록 지난 세기 동안 서양 생의학의 지배에 의해 가려진 지식이지만, 건강은 보건의료체계 이상으로 훨씬 많은 것에 의해 결정된다는 사실이 오랫동안 알려졌다. 본 섹션의 여섯 장은 일반적으로 ‘건강의 사회적 결정 요인’으로 언급되는 것에 대한 시리즈의 초점을 계속하지만, 이는 불공평한 건강 위험을 야기하는 위계적이고, 젠더화되고, 인종화되고, 경제적으로 계층화된, 사회적 억압과 주변화의 체계라고 더 비판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 C1장: 긴축 재연 (*보론: 한국적 맥락)
    • C1장은 부유한 세계가 가난한 나라들이 자신들의 금융 특권의 유동성을 보존하기 위해 따라야 한다고 간주했던 이전의 구조조정 프로그램의 재정적 멍에를 세계화한 긴축 의제에 대한 GHW4의 해부에서 상당한 관심을 받은 문제로 되돌아간다.
    • 2008년 금융위기 때와 마찬가지로, 팬데믹의 경제적 여파는 반복적인 성과를 조직할 준비가 된 것으로 보인다. 
    • 최고 수준에서(특히 국제통화기금)의 수사학 변화에도 불구하고, 2015년 SDGs와 파리협정에서 약속한 것이 급진적인 경제적 재고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것처럼, 신자유주의 정책의 케케묵은 생각은 여전히 (IMF가) 전 세계에 제공한 조언(대출 원조에 의존하는 중·저소득 국가가 의무로 받아들였던)을 지배했다. 
    • 시민사회 운동은 여러 고소득 국가에서 긴축 정책의 삭감에 성공적으로 도전했지만, 모든 대륙에서 반긴축 시위의 물결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중·저소득 국가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 팬데믹의 지독히 불공평한 건강 결과를 위한 발판을 마련한 긴축은 이제 코로나19로 인한 정부들의 깊은 공적 부채를 줄이기 위해 필요한 재정 절약으로 재창조되고 있다. 5개국 중 4개국이 재정 후퇴 중으로, 이미 줄어들고 있는 GDP에서 공적 지출이 차지하는 비율마저 축소하고 있다. 제3, 4차 대유행의 물결이 사람들의 삶과 생계를 계속 뒤흔들고 있음에도 말이다. 
    • 이 장에서는 A1장에서 언급한 것과 유사한, 이 과정을 되돌리기 위한 중요한 선택지들을 확인한다. 이들 중 일부는 이미 일부 국가에서 일반적인 반면, 새로운 것들은 지지부진하게 추구되고 있으며, 모두 “더 부응하는 거시경제 프레임웤”를 필요로 한다. 그 프레임웤이 무엇이든 간에, 그것은 A3장에서 상세히 논의된 환경정의(탈성장) 의제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또한 소수의 고도로 숙련된(일반적으로 기술 기반의) 노동자를 제외한 모든 사람들이 여전히 소득 감소, 불안정한 고용, 사회보장 혜택의 상실, 세계 경제 파이에서 차지하는 점점 더 적은 몫에 직면하고 있는 세계 노동 시장의 지속되는 혼란에 주의해야 할 것이다. 비공식 노동은 새로운 것이 아니다. 고용 기회(그러나 착취적인)가 세계화, 위탁과 함께 개선된 세계의 중·저소득 국가에서 특히 그렇다. 그러나 앱과 노동 플랫폼에 의해 구동되는 “긱” 경제(gig economy)가 점점 더 많은 노동자를 “적기공급(just-in-(part)time)” 노동자로 전환하면서 비공식 노동은 글로벌 디폴트가 되고 있다.
  • C2장: 불평등한 노동 시장이 불평등 팬데믹을 만나다
    • C2는 자국내 백신 집단면역에 도달하고 경제를 재시동하는 일부 고소득 국가가 초기 팬데믹으로 인한 고용 손실을 역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가 나쁜 상황을 더 악화시키고 있음을 발견한다. 
    • 저임금 부문 노동자들은 파트타임 노동자, 고위험 부문(농업, 제조업, 식품 서비스) 노동자, 그리고 보건의료 노동자(A2장이 기록한 것처럼)가 그랬던 것처럼 최악의 상황을 맞았다(놀랍지 않다).
    • 팬데믹으로 인한 불황적 혼란의 젠더화된 측면은, 그것을 여성이 노동 시장에서 가장 큰 타격을 받고 남성보다 고용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낮은 “쉬세션(shecession)”이라고 부르게 만들었다. 
    • 노동조합 조직화 추진의 건강한 증가와 함께 팬데믹 전후 작업장 건강과 사회 불안에 대응하는 노동 운동은 전혀 부족하지 않았다. 
    • 그러나 노동 시장은 세계화가 정부, 노동, 시장 간의 사회적 계약의 초기 시대를 무효화함으로 인해 계속 압박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때문에 무조건적 현금 이전이라는 개념, 즉 시민의 권리로 보장되는 보편적이고 조세로 조달되는 기본 소득에 더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만병통치약도, 더 강력한 노동 규제의 대체물도 아니지만, 그러한 이전은 모두를 위한 “사회적 보호의 마지노선”을 만들려는 추진력과 “괜찮은 일”을 위한 투쟁을 더 강하게 묶는다.
  • C3장: 건강의 상업적 결정 요인에 맞서기
    • 무조건적 현금 이전에 대한 우파의 우려 중 하나는 주머니에 더 많은 돈을 가진 가난한 사람들이 그것을 건강하지 않게 담배, 정크 푸드, 술에 소비할 것이라는 것이다. 현금 이전과 관련하여 이러한 연관성을 뒷받침할 근거는 없지만, C3장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불)건강의 상업적 결정요인”에 대한 우려는 정당하다. 
    • 코로나19는 새로운 감염에 대한 인간의 민감성을 다시 분명히 했을 수 있지만, WHO가 말하는 비감염성 질병(NCD)의 “느린 재앙”은 오랜 중요성을 잃지 않았다. 게다가, NCD의 “위험 요인”은 감염성 질병의 그것만큼 전염될 수 있는데, 주로 상업적이고 자본을 축적하는 초국적 기업이 생산하고 판매하는 “불건강한 상품”의 세계적 확산의 결과이다. 
    • 이 장에서는 담배, 비만 식품, 주류 산업이 그들의 이익을 증진하기 위해 사용하는 잘 알려진 전략(마케팅, 로비, 소송,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라는 연막) 중 일부를 검토하지만, 팬데믹이 어떻게 그들의 공급을 위한 새로운 디지털화된 틈새를 만들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이를 업데이트한다. 
    • 비록 주로 담배 규제 조치와 관련하여 규제완화 피해를 제한하는 데 일부 성공하긴 했지만, 강제력있는 무역 및 투자 조약은 이러한 “불건강한 상품”의 확산을 줄이려는 활동가들의 노력에 대한 강력한 장벽으로 남아 있다. 
    • 광범위한 기업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그리고 강력한 시민사회 동원과 공중보건 옹호의 지지에 힘입어, 더 많은 정부들이 건강에 해로운 제품의 소비를 억제하기 위해 라벨링과 과세 정책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 C4장: 발전 모델, 추출주의, 환경: 지구적 저항 조직하기
    • 궁극적으로, 특히 건강한 식품 생산 및 소비와 관련하여, 국가적, 지구적 거버넌스는 우리의 환경 공유지(커먼즈)의 건강을 보호하는 데 더 큰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 과거의 모든 GHW는 우리의 지구 건강의 쇠퇴하는 상태와, 그것과 함께 우리 인류의 건강에 대한 미래(사실 이미 현재적인) 위험에 대해 언급했다. 기후 변화, 물 손실, 추출 산업은 모두 과거 GHW에 등장했으며, GHW6의 많은 장에 걸쳐 존재한다. 
    • 이 장은 발전 개념 자체와 이른바 “자연 자원”의 끝없는 추출에 대한 그것의 의존이라는, 우파 정부에 의해 가속화되지만 좌파 정부에도 낯설지 않은 현상을 목표로 삼는다. 
    • 이 장은 자본주의의 발전 세계관과 부엔 비비르(Buen Vivir)로 알려졌으며 많은 라틴 아메리카 선주민 철학에 공통되는 에콰도르 토착 철학의 발전 세계관을 대조하면서 시작된다.
    • 이 장의 9개 사례 연구 중 몇 가지는 광업에 관한 것인 반면, 다른 것들은 물(및 물 권리), 기후 변화의 젠더화된 영향, 농산업의 유독한 증가, 그리고 탐욕스럽게 상업적인 그리고 공모한 정부의 공격으로부터 선주민이 거주하고 생물학적으로 다양한 지구의 지역들을 보호하기 위한 지속적인 투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 추출주의의 내재적 병리학에 대한 활동가들의 반대의 정도와 강도를 강조하면서, 이 장은 추출주의의 “발전” 신화에 의해 여전히 형성되고 있는 손상의 정도를 축소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것에 도전할 필요성과, 그렇게 하기 위한 수단 중 일부에 대해서는 분명하다.
  • C5장: 건강한 사람, 건강한 지구를 위해 식품 시스템 변혁하기
    • 앞선 두 가지 주제인 불건강한(산업화된) 식품과 지구의 생태 자원의 지속 불가능한 추출을 결합한 C5장에서도 비슷한 주장이 제기된다. 주장은 간단하다: 글로벌 식품 체계는 고장났다. 글로벌 식품 체계는 건강하고 영양가 있는 음식에 대한 세계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데 실패하면서 오염시키고, 몇몇 과점에서 통제를 강화하고, 생산에 필요한 땅을 파괴한다. 
    • 이 장은 일부에게는 영양실조, 다른 일부에게는 영양과잉의 근원, 식량불안의 증가, 영양실조 식품을 보상하기 위한 기업 기술에 대한 의존도 증가, 지역사회의 식량주권 보호 필요를 탐구한 이전의 GHW를 기반으로 한다. 
    • 이 장은 지배적인 농산업 모델의 역사를 깊이 파고들어, 농업의 지속적인 기업화에도 불구하고 지속되어 온 농생태학적 대안과 대조한다. 그것은 고무적인 사례들을 인용하면서, 인간의 식량 수요와 지구의 지속 가능성을 모두 충족시키는 농생태학의 능력에 대한 상당한 증거를 발견한다. 
    • 코로나19는 이러한 이니셔티브 중 일부를 방해했다. 긴 유통기한과 포장된 가공식품은 이동이 제한되고 마스크를 착용하는 팬데믹 “뉴노멀”에서 지역의 식품 시장보다 안전해 보였다. 
    • 그러나 글로벌 식품 체계의 변혁을 만들기 위해 사람들을 동원하는 작업은 유엔 세계 식량안보 위원회의 일부인 시민사회 및 선주민 메커니즘(CSM)을 통해 계속 구축되고 있다.
    • 단기적으로 중요한 단계는 농생태학이 기술적/기업적 해결책과 그들의 기반이 되는 경제적 이익이 글로벌 식품 거버넌스를 지배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정도가 될 것이다.
  • C6장: 코로나 시대의 분쟁과 건강
    • 한때 우리가 “군산 복합체”라고 불렀던 것에 의해 소비되는 부와 자원은 세계가 팬데믹 위기를 극복하려고 노력함에 따른 시급한 건강과 사회적 요구의 맥락에서 더욱 부조리하게 된다.
    • 이 장은 코로나19로 인해 악화된 세계 최악의 분쟁 지역 중 두 곳(예멘과 시리아)에서 자행된 건강 대학살의 정도와, 이러한 대리전이 어떻게 무기 거래에서 국가적이고 상업적인 이익에 의해 뒷받침되는지를 상기시킨다. 
    • 그것은 부분적으로 팬데믹의 엄호 아래 이슬람 공포증이 어떻게 많은 활동가들이 대량학살로 간주하는 것의 씨앗을 뿌리고 있는지 설명하고 있다. 또한 너무 많은 국가들이 그들의 대응에서 코로나19를 “무기화”하고 있으며, 세계의 많은 지역에서 독재국가들이 민주주의에 도전할 것으로 보인다는 점을 발견한다. 
    • 그러나 개혁에 대한 찬사도 있다. 2021년 1월 발효된 핵무기 금지 조약, “아래로부터의 평화”(평화와 사회적 결속을 위한 조건을 구축하기 위한 풀뿌리 이니셔티브), 이러한 노력에서 여성이 수행한 중요한 역할 등이 그것이다.

감시하기 (3.5)

  • GHW의 기본 아이디어는 ‘감시’하는 것이다. 건강으로 가는 사회적, 환경적 경로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건강 가능성을 발생시키는 지구적 힘, 이러한 가능성에서 더 큰(또는 더 작은) 형평성을 달성하는 지구적 힘의 역할을 관찰, 연구, 분석 및 질문하는 것이다. 
  • 이 섹션을 관통하는 주제는 두 단어(글로벌 거버넌스)와 그것의 민주적 책무성에 대한 위협(세계의 경제 및 기업 엘리트의 급증하는 권력)으로 요약될 수 있다. (무력으로 뒷받침될 수 있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정 외부의) 글로벌 정부가 없는 상황에서 우리는 다중 이해관계자 거버넌스 플랫폼을 여러 개 보유하고 있다. 정부들(선출 여부에 관계없이)은  이러한 집단 의사결정 테이블 주위에 앉아 있지만, 우리의 정부 간 기관이라는 국제연합(UN) 체계가 점점 더 그 부와 권력에 의존하는 “자선 자본가” 초부유층 및 기업 부문인 민간 행위자들에 의해 점차 수적으로 열세를 보이고 있다.
  • D1장: 세계보건기구(WHO)와 팬데믹의 정치
    • D1장은 세계의 공중보건 당국으로서 WHO의 역할 감소에 대한 혹독한 비판으로 시작한다. 이것은 새롭지 않으며, 이전 GHW의 특징이었다. 그러나 상황은 악화되고 있다. WHO의 자금이 세계보건총회(WHA)에 의해 지출이 통제되는 “평가된 기여”에서 거의 나오지 않는 상황이다. WHO의 프로그램 기능은 이제 몇몇 부유한 국가들과 부유한 개인 기부자들에게 계속해서 의존하고 있으며, 이는 더 대표성있는 WHA 대신 이들 기부자들에게 특권적인 의제 설정 권한을 준다. 
    • WHO의 자금 부족은 또한 팬데믹 초기 몇달 간 WHO의 실수를 설명한다. 부유한 회원국들에서처럼, SARS 및 다른 위협적인 팬데믹이 준 대비에 관한 교훈은, 새로운 국제공중보건비상사태(PHEIC) 발발시 있어야 하는 보호된 재정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았다.
    • 코로나19에 대한 글로벌 대응은 대신, WHO가 참여하지만 주도하지 않는 공공-민간 파트너십(PPP)인 코로나19 도구 가속기(ACT-A)에 떨어졌다. 많은 부분 빌 게이츠가 제공한 설계와 자금 지원을 따라 만들어진 이 모델은 기업 이익(주로 B4장에서 논의된 빅파마의 IPR 독점)에 대한 도전을 거부하고 지금까지 백신 아파르트헤이트라는 예방 가능한 비극을 해결하는데 실패했다.
    • 팬데믹 이후의 감염병 회고가 국제보건규칙(IHR)의 또 다른 개정으로 이어질지, 아니면 완전히 새로운 팬데믹 조약으로 이어질지는 분명치 않다. 그러나 WHO 회원국들이 그들의 평가된 기여를 비례적으로 늘려야 할 필요성은 분명하다. 
    • WHO의 자금 위기의 정도는 2020년, 전 빅파마 CEO가 이끄는 자체 재단(WHO Foundation)을 설립한 것에서 더 분명하게 드러난다. 이 재단은 투자 수익이 WHO에 새로운 운영 자본을 제공할 수 있는 기업과 개인의 기부를 구하고 있다. 이 모델이 A1장에서 언급된 소득과 부의 불형평의 급증을 만드는 데 도움을 준 동일한 글로벌 금융화 체계에서 WHO를 예시로 삼는다는 것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아채지 못한 아이러니이다.
  • D2장: 경기장 이동하기: 새로운 무역 조약이 정부들을 통치하는 방식 (*보론: 한국적 맥락)
    • D2장은 적어도 지난 사반세기 동안 글로벌 경제(및 환경 공유지)를 형성한, 강제력있는 무역 및 투자 규칙이라는 거버넌스의 또다른 측면에 비난의 시선을 던진다. 이 장은 WTO의 다자주의에서부터 (거의 정의상 WTO-plus인) 양자간 또는 지역 무역 협정으로의 추세로의 전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 이 장은 새로운 두 조약, CPTPP (포괄적이고 점진적인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와 USMCA (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의 공중보건에 대한 새로운 잠재적 위협을 평가하는 데 시간을 할애한다. 두 조약 모두, 해외 기업 행위자의 참여를 허용하거나 심지어 의무화하는 것을 포함하여 미래 규제가 어떻게 개발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새로운 규칙을 적용함으로써 정부가 무역을 억제할 수 있는 정책 조치에 관한 통솔권을 제약한다.
    • 교역 국가 간 규제 일관성을 개선하는 것은 “나쁜” 일이 아닐 수 있지만, 그것은 그 일관성이 건강 형평성, 노동권, 환경 보호 결과에 기초하는지 여부에 달려 있다. 몇몇 양자간 및 지역 협정에 새로운 노동 및 환경 챕터가 포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것들은 “바닥으로의 경쟁”을 막을 수 있을지는 몰라도(또는 적어도 속도를 늦출 수는 있지만) 권력강화하는 “정상을 향한 도달”은 아니다. 
    • 그러한 조약의 가장 골치 아픈 측면은 무역보다는 투자에 있다. 국제 투자 조약은 투기적 투자자, 기업 로펌, 초국가적 기업들이 모호하게 적힌 조약 규칙과 비밀스러운 재판 절차를 위해 정부(및 그들이 대표하는 사람들)를 인질로 잡고 있는 금융화된 자본주의의 가장 약탈적인 형태 중 하나가 되었다.
    • 최근의 상황은 이것이다.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정부를 상대로, 그들이 부과해야 했던 공중보건 조치에 대한 소송을 진행 중이거나 계획 중이다. 그러한 조치들이 그들의 투자에 대한 예상 수익을 방해했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 D3장: 국제연합(UN), 글로벌 거버넌스, 그리고 및 자금지원 실패의 피해
    • 이 장에서는 근본적인(그리고 여전히 대부분 신자유주의적인) 경제적 원리가 여전히 우세하더라도, 무역 및 투자 조약 협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건강의 능력에 대한 기회의 창에 주목한다. 
    • WTO의 분쟁 해결 규칙이 이 기관을 가장 강력한 기관 중 하나로 만들더라도, WTO는 글로벌 거버넌스 체계의 작은 부분 중 하나이다. UN은 WHO 처럼, 경제/사회 시소(줄다리기)의 사회적 보호 측면을 다루는 광범위한 업무를 담당하는 훨씬 더 큰 정부 간 조직 네트워크이다. 
    • D3장이 기록한 바와 같이, 이 UN이라는 전후 네트워크는 1990년대 이후 WHO만큼 심각하게 자금부족을 겪었다. 신자유주의 경제 정설이 너무 지배적이어서 일각에서는 (비록 시기상조이긴 하지만) “역사의 종말”을 예고한 것과 같은 기간이다.  
    • 이 장은 자금 지원에 접근하기 위해 초국적 기업들에게 친절을 베풀려는 UN의 노력에 특히 비판적이다. 친절을 베푸는 것은 어떤 칭찬받을 만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의 근거보다도 더 CSR 숭배에 훨씬 더 많은 신뢰를 주는 강제력 없는 “글로벌 콤팩트(합의)”로 이어진다.
    • 지속적인 시민사회 압력에 의해 추진되는 보다 긍정적인 발전은, 초국적 기업의 인권 의무에 대한 구속력있는 조약을 만들기 위한 노력이다. 그것이 통치할 사람들의 그러한 조약에 대한 반대는 당연하게도 격렬하다. 그러나 팬데믹은 협상의 결승선을 통과하는 데 필요한 자극을 줄 수 있다. 
    • 그러나 UN 기구의 핵심 기능(국가의 인권조약 준수에 대한 감독을 포함)을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자금조달 콤팩트(합의)”가 있을 때까지, 강력한 경제적 사리추구는 평화를 만드는 글로벌 거버넌스에서 여전히 가장 지속적인 노력에 계속 침투할 것이다.
  • D4장: 국제 금융 기관 감시하기: 새로운 수사학, 오래된 관행?
    • D4장은 세계은행(WB)과 국제통화기금(IMF)이라는, 그 거버넌스에 대해 오랫동안 의문이 제기되어 온 두 개의 글로벌 조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D4가 발견한 바와 같이, 구조조정의 언어는 사라졌을 수 있지만, 기본 전제는 단순히 재포장되었다. 
    • 세계은행은 신자유주의적 비유를 “인적 자본”이라는 아이디어로 교환한다. 그 안에서 적어도 건강과 교육에 대한 투자의 중요성이 SDGs 이후의 중요성을 부여받는다. 그러나 그 자체 목표로서 보다는 경제성장 개선의 수단으로서 그렇다. 세계은행의 인적 자본 프로젝트는 비즈니스 기회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과 연결되어 있으며, 민간 영역 대출 부문인 국제금융공사(IFC)와 그것의 “시장 구축” 전략 및 민간 부문 성장을 팬데믹 이후 우선 순위로 포지셔닝하는 전략에 편안하게 자리잡고 있다. 
    • 그러나 세계은행과 IMF의 내부 역학은 그들의 결합된 2020년 회의가 “사람에 대한 투자”에 대한 언급으로 가득 차 있기 때문에 다소 모순된다. 모순은 그 투자가 어디에서 오느냐에 달려 있다.
    • 두 기관은 세계은행이 코백스 백신 계획에 자금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여 코로나19에 대처하는 것을 돕기 위해 중·저소득 국가 정부에 자금을 제공했다. 하지만 실망스럽게도, 세계은행(또는 적어도 미국이 임명한 사무총장)은 TRIPS 유예에 반대한다.
    • IMF와 세계은행은 모두 팬데믹을 빠르고 공정하게 끝내기 위한 노력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 광범위한 사회적 반란과 정부 붕괴의 위험을 알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고소득 국가가 팬데믹에서 가장 먼저 헤쳐나옴에 따라 부동산 및 금융 시장의 투기가 역사적 규모의 거대한 거품을 계속 부풀리는 동안 그들의 경제 성장이 느린 상승세를 보일 것이라는 것을 고려할 때 더욱 중요해진다. 두 가지 추세의 순 결과는 ‘저금리(cheap money)’의 팬데믹 시대, 코로나19 구제 조치의 급증, 팬데믹 이후의 경기 부양 지출, 현대 통화 이론을 통한 통화 공급 증가의 종말 또는 둔화 가능성이다. 
    • A1장이 경고했듯이, 이러한 정책을 감당할 수 있었던 부유한 국가들은 이제 인플레이션의 후속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할 준비가 되어 있다. 그들의 통화상황 긴축은 팬데믹 이전 이미 (다시) 부채 부담이 있는, 지금은 더욱 그러한 많은 중·저소득 국가에서 중대한 부채 위기를 촉발할 가능성이 높다. 그런 위기가 (다시) 긴축 조치를 만난다면(그럴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데), 독재 정부의 대응과 함께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사회 불안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 D5장: 세계경제포럼(WEF)의 ‘위대한 리셋’
    • D5장은 기업 면책의 시대라고 부르는 것에 대한 신랄한 비판을 제시한다. 핵심 주장은 WEF의 팬데믹 이후의 “위대한 리셋”이 민간 자본과 기업 규칙을 UN 체계의 핵심에 닻을 내릴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이다.
    • 세계경제포럼의 창립자인 클라우스 슈밥은 수년간 다중 이해관계자 주의와 그가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라고 부르는 복음을 전파해왔다. 이는 기업이 그들의 역할을 주주 가치 극대화에서 벗어나 노동자, 고객, 지역사회에 대한 책임을 인식하는 것으로 재정의하는 것이다. 안타깝게도, 과거의 행동은 그러한 “리셋”을 위한 좋은 전조가 되지 못한다.
    • 이 장에서 표현된 즉각적인 우려는, WEF가 UN 거버넌스 구조 내에서 천천히 자리를 잡고 있다는 것, 기업/자본 이익과 소수의 민주적으로 더 책무성있는 글로벌 거버넌스 체계의 불안한 겹침이 강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결론 (1)

  • 우리는 팬데믹 이전과 현재 팬데믹의 그늘 아래에서 독재 정권이 대중의 시위를 점점 더 중단시키고 있는 방법을 무시할 만큼 순진하거나 무비판적으로 이상주의적이지 않다. 민주주의(특히 서구 자유주의 형태)는 완벽한 체계였던 적이 없다. 그리고 민주주의를 가장하지 않는 국가 자본주의 체제 하에서 중국의 전 세계적 부상은, 주장하고, 행동하고, 옹호하는 능력이 적어도 법적 민주주의 규범에 의해 어느 정도 보호되는 시민사회 운동들에게 특별한 도전을 야기한다. 
  • 우리가 서로에 대한 사회적, 환경적 의무가 보다 인간적인 규모로 일어나는 탈성장 미래에 대한 A3장의 “세방화된(glocalized)” 아이디어를 고수하든, 아니면 GHW6 전체에 걸쳐 암시된 것처럼 여러 수준에 걸쳐 거버넌스와 정부에 대한 재활성화된 사회주의 비전을 고수하든, “권력에게 진실을 말하는 것”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 – 실제로, 의도적으로 듣지 않는 사람들에게 지혜를 외치는 것 – 은 우리의 활동가들의 반감을 키우는 힘으로 남아있다.
  • PHM의 “모든 이에게 건강을”이라는 20년간의 조직과 캠페인에서 얻은 교훈 중 일부를 강조하는 것이 우리의 결론 챕터의 주제이다. 그것은 먼저 PHM의 활동에 대한 자기성찰적인 연구에서 도출되는데, 이는 PHM의 이름과 비전 목표 아래 옹호 활동을 하는 전 세계의 많은 활동가들에 대한 자기 책무성이다. 전 세계 수십 명의 활동가들이 참여한 이 연구는 실천에서 도출된 몇 가지 원칙과 이것들이 PHM의 계획된 미래 노력에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종합한다.
  • 결론 장은 GHW6 전체에 걸쳐 등장하는 그러한 원칙의 몇 가지 중심이 되는 사례를 요약한다. 핵심 주제는 모임/만남(convergence)이다. “건강에 대한 비슷한 우려를 공유하고 건강 불평등을 유지하는 데 있어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의 역할에 비판적인 사람, 단체, 운동이 함께 모이는 것.” 그러한 모임/만남이 대부분의 진보적인 사회운동의 노력을 이끄는 생태적으로 정의로운 세계를 만들 것이라는 확신은 없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우리의 더 건강한 미래에 필수적인 수단인 만큼 그 자체로 많은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번 GHW는 이전의 모든 GHW와 마찬가지로 그들을 기리기 위한 시도이다. (끝)

[Issue Paper] Changing Political Economy of Pharmaceutical Production in Post-COVID-19 era and Civil Society Movement Strategy in South Korea

Alliance for a Better Pharmaceutical Production Regime (ABPPR) was launched by Korean Pharmacists for Democratic Society (KPDS), People’s Solidarity for Social Progress (PSSP), Health Right Network (HRN), People’s Health Institute (PHI), and IPLeft on April 10, 2018. The purpose was to diagnose changes in the political economy surrounding the pharmaceutical industry and government regulations after the “Access to Glivec, Sprycel, and Fuzeon movement” and “Anti-KORUS FTA movement” in the 2000s, and lay the knowledge base for social movements to secure access to and ‘publicness’ of medicines.

This issue paper contains an analysis of history and structure, power and interests, and ideology that can interpret and explain problems from the perspective of a changing political economy of pharmaceutical production since the 2000s and after COVID-19. Not only the ‘changing’ context like financialization and biomedicalization but also ‘classical’ contexts such as strengthening monopolization through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privatization of public resources are still valid. Although it is not perfect, it contains concerns about the movement strategy of Korean civil society as of June 2022. We ask readers to join us in this concern and discussion.

We express our deep gratitude to our comrade Hee-seob Nam, who passed away on May 10, 2021. He was always there to fight for access to medicines for 20 years, from the access to Glivec and Fuzeon movement and anti-KORUS FTA movement, to access to COVID-19 technologies movement. He also shared a lot of inspiration and insights globally across the border. May he rest in peace.


< Abstract >

1. COVID-19 pandemic, (re)examination of access to medicines, and R&D, production, and supply regimes

  • COVID-19 pandemic provided a venue for ‘joint learning’ worldwide about access to medicines and the importance of R&D, production, and supply systems. Competition to secure treatments and vaccines, described as a “war” between countries, arose due to the lack or failure of a fair distribution mechanism based on need amid limited production and supply worldwide. Two major factors played a role in the limitation of production and supply. One was the monopoly of technology and knowledge through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the other was the insufficient and unequal use of global production capacities. The loser of the “war” was bound to be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that lacked purchasing power and technology.
  • There was also an alternative effort. These include the “COVID-19 Technology Access Pool (C-TAP)” to jointly manage technologies and knowledge related to COVID-19, the “Access to COVID-19 Tools Accelerator (ACT-A)” to cooperate worldwide from R&D and production to purchase and distribution of COVID-19 technologies, and its vaccine pillar, COVAX. However, the planned goals were not realized in the end. There was no ‘voluntary’ technology sharing by companies with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amid limited production and supply, only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that could not afford to purchase vaccines were left in extreme inequality while high-income countries hoarded vaccines. These were the contexts in which the governments of India and South Africa proposed a temporary waiver of certain provisions of TRIPs on COVID-19 technology at the WTO level. However, the decision passed at the 12th WTO Ministerial Council in a year and eight months was so retrograde that it could no longer be called a waiver.
  • Korean civil society has joined forces with global civil society to support the ‘TRIPs waiver.’ The Korean government has consistently maintained its opposition while pushing for Korea’s initiative to become a “global vaccine hub.” Public attention to the TRIPs waiver has faded, and the movement’s momentum has also been reduced. However, as high-income countries, including Korea, began to vaccinate “booster shots,” vaccine inequality has worsened again, and inequality is being reenacted in oral therapeutics.

2. Political economy of pharmaceutical production: Global context and Korean position

  • In the late 1980s, in the era of neoliberal financial globalization, mergers and acquisitions between pharmaceutical companie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patent rights were strengthened worldwide. Meanwhile, bio-venture companies emerged through the stock market, transforming the pharmaceutical production ecosystem with transnational pharmaceutical companies that have become huge through mergers and acquisitions. The result was a rise in drug prices due to the strengthened market dominance of pharmaceutical companies and a shift of drug development costs to society.
  • With COVID-19, the government’s role in drug production has been greatly strengthened, and ‘publicness’ issues in drug development and production have begun to draw much attention. However, this government-led drug development model had many limitations, such that the knowledge and technology produced by public funds were not widely shared and spread and especially underdeveloped countries could not even try this model.
  • Meanwhile, in Korea, under the influence of neoliberal financial globalization, the “knowledge-based economy” model began during the Kim Dae Jung government and was succeeded by the Moon Jae In government’s “innovative growth” policy. The innovative growth policy involves easing industrial and financial regulations to foster venture capital. However, unlike the U.S., Korea, which does not have original innovative technology, does not achieve the goal of developing innovative drugs and economic growth and only creates side effects of forming a bubble in the KOSDAQ market and releasing drugs that lack safety and effectiveness.

3. The Korean government’s policy to foster bio and pharmaceutical industries

  • The Korean government expanded financial support to foster the bio and pharmaceutical industries in each administration, and also promoted deregulation policies that lower drug approval standards, for industrial purposes. These deregulation measures led to indiscriminate drug approvals, and the use of unverified drugs threatened safety for many people. Despite repeated poor approvals, the government has continued to push for industrial development policies rather than efforts to improve them and is stepping up support and deregulation with the opportunity of COVID-19. Meanwhile, the global community is paying attention to Korea in the wake of COVID-19, not because of bio-new drugs, but because of its ability to produce biosimilars and vaccines.
  • In the COVID-19 situation, the monopoly problem of bio-new drugs such as vaccines was strongly exerted despite the public health crisis. In the end,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had a lot of difficulties accessing them. The latest biopharmaceuticals require complex production processes and advanced production facilities completely different from conventional chemical drugs or traditional vaccines. In addition, third-phase clinical trials are required to confirm the equivalence of generic drugs (biosimilars) due to their complex shape and structure and vulnerability to external environments. As such, barriers to biosimilar production, which are different from conventional generics (of chemical drugs), are giving many countries additional difficulties in using biopharmaceuticals, in addition to the monopoly based on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new drugs. For this reason, several countries are starting discussions to solve the high entry barriers to biosimilar production.
  • Korea has the world’s second-largest bio-production facility and has been entrusted by AstraZeneca, Novavax, Sputnik, and Moderna to produce their COVID-19 vaccines. In addition, Korea is becoming a major producer of biosimilars as four of the top 10 biosimilar sales in 2020 are from domestic companies. While the Korean government is implementing policies to foster bio and pharmaceutical industries to ‘catch up’ major high-income countries and transnational pharmaceutical companies, the global community expects the Korean government and companies to provide affordable biopharmaceuticals to all countries. Considering that the government’s biosimilar policy for industrial development has not led to a reduction in domestic drug expenditure, let alone ensuring affordability of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watching and checking the government and companies to meet their changed status and expectations has become a new task for Korean civil society.

4. The ‘access to medicines’ movement for high-priced medicines: Global context and Korean position

  • Korean patients had difficulty using the leukemia drug Glivec in 2001 because of the high price and the pharmaceutical company’s refusal of supply to stick to the high price of the drug. However, health and medical CSOs joined the patient movement to launch an access movement which later led to the access to Sprycel and Fuzeon movement in 2007. These movements went beyond the expansion of the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the drugs, argued for the necessity of patient participation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drug development, production, and supply, and criticized the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strengthened with the launch of the WTO.
    The issue of access to expensive new drugs such as Glivec was not limited to Korea. This was because transnational pharmaceutical companies pursued a profit maximization strategy that set the maximum price of the drug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and then forced the price on other countries.
  • In the early 2000s, discussions from the perspective of ‘access to medicines is a human right’ began at the United Nations. Activists worldwide have considered drug production and supply at the global level, witnessing, on the one hand, the Brazilian public laboratories and Indian generic pharmaceutical companies proving the feasibility of access to affordable medicines, and on the other hand, India introducing material patents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TRIPs with revision of their patent law in 2005. The access to the Glivec movement, which started in Korea and passed through Thailand to India, and the global pandemic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Swine Flu and COVID-19, as well as the call for compulsory licensing and TRIPs waiver for access to therapeutics and vaccines, showed that a global strategy is needed.
  • Korea has an important status in this global solidarity movement. This is because the access issues were revealed ahead of developing countries, and compulsory licensing in countries such as Korea, which is well equipped with drug production facilities, can have a greater impact.

5. Challenges of Korean civil society movements for ‘publicness of pharmaceutical production’ beyond ‘access to medicines’ in the post-COVID-19 era

  • Guerbet’s refusal to supply liver cancer contrast agent Lipiodol in 2018 and Gore’s supply suspension of artificial blood vessels for pediatric heart surgery in 2019 suggested that the monopolistic pharmaceutical company’s ‘refusal to supply drugs’ strategy is still valid, and that there are a variety of pharma monopolies even if not patent rights; but that the structure and mechanism of the problem are the same – the monopolistic production and supply by for-profit pharma.
  • After the “Access to Glivec, Sprycel, and Fuzeon movement” and “Anti-KORUS FTA movement” in the 2000s, Korean society has rapidly become neo-liberalized through compressive growth under compressive globalization. And now, in the era of ‘shareholderization of the entire nation,’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dogmatism,’ in which the majority of the public, with the identity of ‘shareholders’ of bio-pharmaceutical companies, support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s now dominating the entire society. For Korean civil society, the space of the popular movement has been reduced more than ever.
  • It may sound paradoxical, hope can be found in that the access issues surrounding ultra-high-priced new bio drugs or ‘orphanization’ of ‘old drugs’ can be found in other high-income countries such as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The fact that the public anger over the tyranny of monopolistic pharmaceutical companies and the political community’s awareness of the ‘system failure’ is higher than ever globally could be an opportunity for change.
  • The Korean civil society believes that the ‘access to medicines’ movement is still valid even in the post-COVID-19 era, and believes that the ‘publicness of global pharmaceutical production’ should be asserted beyond the ‘access to medicines for Koreans.’ The civil society movement should raise such tasks socially and lead public discourse beyond the limitations of perspectives of patients or nation-states. Even considering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and the socioeconomic nature of medicines, the people’s movement for ‘publicness’ of pharmaceutical production has been and should continue to be associated with various social movements, including human rights movements, patient movements, and access to knowledge movements.

포스트 코로나 시대_의약품 생산의 변화된 정치경제와 시민사회 운동 전략 모색_표지

Issue Paper Download link

[Research report] A situational analysis of Equitable Access to COVID-19 Technologies in South Korea

People’s Health Movement Korea (PHM Korea hereafter) and its solidarity network conducted a project called Equitable Access for COVID-19 Technologies (EACT) organized by the People’s Health Movement (PHM) and supported by the Open Society Foundations from July 2020 to June 2021.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hat (1) identify key lessons and challenges doing health activism amid COVID-19 for other activists and solidarity groups and (2) measure technology issues and access to medicines in South Korea along with the indicator of COVID-19. Both goals supplement PHM’s long term visions for Health for All.

Drawing from the situational analysis, the main findings of this report consist of two parts: (1) EACT Korea as health activism and (2) EACT Korea as evidence and data production.

Regarding EACT Korea as activism, our actions and campaigns are summarised in the following:

  • When EACT Korea first started in July 2020, members of EACT Korea continued campaigns for intellectual property (IP) issues along with global Access to Medicines (A2M) actions in the middle of the COVID-19 outbreak.
  • Starting from October 2020, EACT Korea conducted rising campaigns to support a proposal to waive several sections of the Agreement on Trade-Related Aspect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RIPS Waiver proposal hereafter).
  • Since the WTO announced ‘a third way’ to broaden access to COVID-19 technologies via technology transfer and voluntary licensing, EACT Korea adhered to the solidarity with the TRIPS Waiver actions instead of shifting main strategies for local manufacturing and technology transferring.

Regarding EACT Korea as evidence-making, the findings we have been able to draw by delving into the topic of EACT are as follows:

  • EACT Korea conducted situational case studies on public research and development (R&D hereafter) in South Korea, Korean pharma and bio firms related to COVID-19 technologies, and public manufacturing in Korea.
  • The EACT Korea campaigners also produced a number of analyses of the TRIPS Waiver Proposal in the relation to suggestions for the Korean government and Korean companies, research institutes, academia, and civil society.

In sum, this report put importance on the push for both global solidarity and research activities for equitable access to COVID-19 related tools and technologies, as well as for overcoming IP barriers in the future.

 

CONTENTS

  1. Overview 1
  2. Introduction 2
  3. Methods 3
  4. Situational campaigns for EACT 4
    1. Stage 1: Continuing IP & A2M actions in South Korea (July 2020 – October 2020) 4
    2. Stage 2: Blooming of the Korean advocacy for India-South Africa TRIPS Waiver (October 2020 – February 2021) 7
    3. Stage 3: Standing with the TRIPS Waiver Proposal (February 2021 – June 2021) 10
      1. Wave 1 11
      2. Wave 2 12
  5. Situational case studies on Korean pharmaceutical systems and A2M amid COVID-19 17
    1. Public R&D in South Korea (January, 2021) 17
    2. Korean firm Celltrion’s Regkirona (From November 2020 to February 2021) 18
    3. The TRIPS Waiver Proposal and Korean societies (March 2021) 20
    4. The COVID-19 diagnostic kits industry in South Korea (June 2021) 21
    5. Public manufacturing in South Korea (July 2021) 22
    6. Equitable vaccine distributions for the marginalized population in Korea (From January 2021 to April 2021) 24
  6. Concluding notes 25
  7. Annexes 26

 

File download:

[EACT Korea Final Report] A situational analysis of Equitable Access to COVID-19 Technologies in South Korea

[EACT Global Project Report] Promoting Equitable Access to Essential Health Technologies in the context of COVID-19 in three pilot countries: India, South Africa and South Korea

[Research report] COVID-19 Vaccinations and People’s Rights in South Korea

CONTENTS

Chapter 1. Introduction
Chapter 2. Politicization of COVID-19 vaccination
Chapter 3. Political economy of vaccine research and development
Chapter 4. Vaccination Policy and public health care system
Chapter 5. Justice and Ethics of Vaccination
Chapter 6. COVID-19 vaccines: Global governance for global justice
Chapter 7. Civic Engagement in the COVID-19 Vaccine Policy Process

 

ENGLISH ABSTRACT

 

Chapter 1. Introduction

Vaccines and publicity are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keywords in Korea’s COVID-19 “system.” Vaccines have emerged as a strong alternative or consideration in that they are almost the only way to end the COVID-19 epidemic. The health care system, centered on the private sector, or market principles, has revealed its limitations in the process of responding to COVID-19. The combination of vaccines and publicity, which were other trends of interest, came after major high-income countries predicted to monopolize the COVID-19 vaccine from late 2020. The following perspective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vaccine problem. First,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vaccines is that it is a ‘product’ that is often traded in the ‘market’ as a result of industrial ‘production’. Second, the so-called “health care system” perspective is also needed in discussions surrounding vaccines and vaccinations in Korea. Third, it is also important to understand vaccines and vaccinations as “the social” beyond science, technology, medicine, and bio-medicine. When the political-economic logic of vaccines and the goals of the COVID-19 response conflict, publicity can serve as a criterion for judging and socially solving them. At this time, publicity includes the nature of practical ethics centered on rights to health, international justice, and distributional justice.

 

Chapter 2. Politicization of COVID-19 vaccination

Since the COVID-19 outbreak spread, mask-wearing, hand hygiene, and social distancing became the most common measures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virus. After the introduction of vaccination, the vaccine has been considered the most effective way to fight the pandemic through herd immunity. Although these preventive measures are based on epidemiological and scientific evidence, some politicians, experts, and the media from countries worldwide, including Korea questioned the potential side effects of vaccines, intentionally stimulating anxiety and fear among citizens. This study regards this phenomenon as a politicization of COVID-19. Politicization is defined as “a dynamic process in which public actors engage in political discourses in the public sphere for political agenda-setting and resource distribution.”

Politicization seems to have negative effects because it may cause social conflicts; however, theoretically, it can have positive effects when various actors expose and magnify problems that have been neglected, then discuss and cooperate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public sphere. In this process, citizens can participate in health-related decision-making through public discussion. However, if the quality of discussion is not up to standard due to various reasons (e.g., political bias and misinformation), it can result in socially undesirable behaviours such as vaccine hesitancy.

This study derived the following themes of politicization of the COVID-19 through deductive reasoning based on team discussion: vaccines quantity and vaccination schedule, vaccination priority and equity, vaccines safety and the individual right to choose vaccine brands, and the government’s response to adverse reactions from the vaccines.

During this politicization of the COVID-19 vaccine, public actors, including state, economic, and social powers, engaged in political discourses to achieve different goals. The state power emphasized a timely introduction of vaccines and treatments, and support to devise vaccines in cooperation with domestic pharmaceutical companies to gain the legitimacy of governmentality. The state power showe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economic powers by setting the goal of the growth of the pharmaceutical industry and market expansion.

Social powers attempted to improve public interests, protect the socio-economically disadvantaged, and protest against international inequality of vaccine accessibility, making them the main political agenda. However, since public health has largely been influenced by state powers, social power has had a relatively small impact on the COVID-19 pandemic. As a result, disagreements arose about various issues such as resource distribution, and subsequently, they led to social conflicts during the politicization of COVID-19.

 

Chapter 3. Political economy of vaccine research and development

Global healthcare research and development (R&D) framework is working with public funding mechanism including ‘push’ strategy such as research grants or tax breaks, and ‘pull’ strategy such as orphan drugs or advance-purchase commitments. It should be reviewed the power of agents including state, economy and social dimension to understanding the framework. For the political economy analysis of vaccine R&D we examined the state, economic and social power relationship within the R&D framework. In most high-income countries, the state-operated push and pull mechanisms. The economic power transformed their strategy from concentrated investment for R&D to financialization, because the traditional drug markets have gradually deteriorated. The economic power focused on the profit from stock or merge and acquisition, rather than developing new drugs by intensive investment to R&D. Simultaneously, despite the economic power pretend to accept social demands such a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to redistribute their wealth via various charity, money to be invested those activities would be re-pocketed into the drug companies. Social power plays a role as a watchdog against R&D activities. The role of the social power in the vaccine R&D framework was only focused on the terminal stage of the R&D process, even if the social power tried to engage in development, design, implementation and accessibility to the end product of R&D. In South Korea, it is also hard to understand why the social power is important or what kinds of role they can do in R&D framework. However,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unfair R&D governance where crucial values including participation and watching were excluded. Frankly speaking, there is no room for social power within the R&D framework in South Korea. Therefore, the agenda of the social power for the future has to re-organize and reconstruct the now unfair R&D framework.

 

Chapter 4. Vaccination Policy and public health care system

Since the 1970s, many high-income countries have promoted new public management reforms. Based on the belief that the market is more efficient than the government, public services provided by the government were handed over to the private sector, and the government also had to introduce market principles for efficiency. However, there are also strong criticisms that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original purpose of improving the quality of services and reducing costs, and that it can weaken the system. For example, it weakens the expertise, responsiveness, control, and accountability of government agencies, and makes it difficult to solve inequality problems.

In Korea, since liberation in 1945, sufficient expenditure has never been made on the public health care system amid an absolute lack of resources, a developmental state pathway, and a new public management paradigm. Meanwhile, private hospitals overwhelmed public hospitals in quantity and quality, and the public role decreased. Health centers with insufficient manpower and financial input also promoted public-private partnerships as the burden of work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vaccination system,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medical institutions expanded, starting with the pilot project to support essential vaccination costs for private medical institutions in 2005. In the 2019-2020 season, contracted medical institutions accounted for 89.2% of influenza vaccinations for the elderly aged 65 or older.

The contracted medical institutions played a key role also in the COVID-19 vaccination. However, the distribution of locally unequal medical institutions in private-centered systems can also affect vaccination.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properly manage and supervise a significant number of private medical institutions by public health centers that are already overloaded. In the trend of new public management, the decrease in the role of public health centers may gradually lead to a reduction in capacity, authority, and expertise as health authorities.

In order to alleviate current concerns, it is imperative to increase resources such as institutions and manpower in the public sector. However, just because the public sector grows quantitatively does not automatically guarantee public values. If outcome-oriented and efficiency are still the top priority, unequal structures and results are difficult to change. Democratic governance that can reflect the voices of marginalized people and a public-private partnership between state power and social power are needed.

 

Chapter 5. Justice and Ethics of Vaccination

As vaccines are essential resources to respond to the pandemic, the equitable allocation of vaccines should be considered. However, only healthy maximization from a utilitarian approach is implemented as ethical principles for vaccines allocation in South Korea. This response to the pandemic has exposed existing social inequities and even exacerbated them during the entire vaccination process. Vaccination inequities are reproduced by dynamics of following a triple structure: 1) socioeconomic structure (i.e. social determinants of vaccination accessibilities), 2) policies and institutions (i.e. health care system, and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s), and 3) culture and an episteme (i.e. exception status, utilitarianism, neoliberalism). Defining the pandemic as an exception status, utilitarian and liberal values that internalize individualization are prioritized over any other values such as equity and justice. In other words, inequities become commonplace thus are treated as unavoidable. Given the situation, individuals should bear any kinds of risks and injustice. Under ‘governmentality,’ only N% of vaccination is set as a top priority goal of the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While social determinants of vaccination are not equally distributed, the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has never considered resolving them as well. Consequently, the structure of vaccination inequalities calls for ‘democratic publicness.’ From this perspective, we believe that vaccination justice could be achieved when the pandemic responses set equity as a top priority principle, establish the procedural ethical framework based on civil societies as a social base, and decentralize the power.

 

Chapter 6. COVID-19 vaccines: Global governance for global justice

As the COVID-19 is a pandemic, the justice for vaccines must also be considered at the global level across borders.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he COVID-19 vaccines and the pandemic itself are issues of global justice that cannot be settled without joint efforts and that show inequalities between countries.

Through the COVID-19 pandemic, global health governance aims for global health security have revealed various problems. The COVAX was launched to distribute vaccines according to the public health needs of countries, not economic, political, or geopolitical interests, but has degenerated into an aid mechanism due to vaccine nationalism and vaccine diplomacy of the powerful countries. Effective international legal grounds were needed to make the supply of vaccines produced by transnational pharmaceutical companies being under the control of the WHO and the COVAX, but under existing global health governance centered around the 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s and the WHO, there was no way to do that. Beyond the limits of the current “global health governance,” the “global governance for health” perspective is more relevant than ever in the COVID-19 pandemic. It aims for equitable global governance should be created that considers all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determinants affecting health.

Global powers and transnational capital seek to stabilize capital accumulation while responding to their domestic pressure with the COVID-19 vaccines. This motivation makes the achievement of global justice less priority or drags it down as a means for the national interest. Rather than trying to change this global trend,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s actively riding on it and seeking to secure economic and technical superiority and stable governmentality with the COVID-19 vaccines and treatments. In order for the government to quickly achieve these goals, it is essential to obtain cooperation from companies, which has led the companies to take the lead in discussions on the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the COVID-19 vaccines and treatments in South Korea.

The last hope lies in the global solidarity movement. In fact, it is only the social movement that can check the national states and governments, which prioritize their domestic politics and governmentality. Since the 1990s, global civil society has continued to fight for global justice insisting on affordable prices for equitable access to medicines, against transnational pharmaceutical companies as well as the intellectual property regime strengthening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WTO. In the COVID-19 situation, South Korean civil society has been striving for equitable access to vaccines around the world by solidarity with the global civil society, criticizing governments and companies.

As of the end of September 2021, the exemption from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rough WTO/TRIPs (TRIPs waiver) is the top priority campaign agenda for civil society around the world. The adoption of the TRIPs waiver proposal could be the beginning of just global vaccine governance, in which countries expand the pie themselves instead of competing with each other over the pie set by transnational pharmaceutical companies, and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gain rights to vaccine production instead of waiting for vaccine aid from high-income countries.

 

Chapter 7. Civic Engagement in the COVID-19 Vaccine Policy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collaborative governance including civic engagement can be developed in the era of the COVID-19. The findings open up several issues about vaccination policies from civil society perspectives: inequity in vaccine access, th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civil society and government, government-led decision-making processes, and the absence of co-production of knowledge. Evaluation of citizen participation related to national advisory committees on vaccination reveals the status of “tokenism”, supported by a window dressing ritual or one-way flow of information. Our findings highlight the constraints on the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s’ and collaborative governance. Even though civil society attempted to construct alternative countervailing power, which lies between adversarial and collaborative one, empowered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did not occur in vaccination policies. Institutional design efforts should be required to advance empowered participatory governance. 

 

Full report (in Korean) download: COVID-19 Vaccinations and People’s Rights in South Korea by PHI & PHM Korea

[PHM Korea 이슈브리프] 공적 생산시설에서 생산된 코로나19 백신, 이용할 권리는 누가 가져야 할까?

 

  1. 들어가며

○ 지난 5월 한미 정상이 합의한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을 계기로, 정부는 한국의 ‘글로벌 백신 허브’화를 빠르게 추진하고 있음.

– 6월 12일 개최된 G7 정상회의 ‘보건’ 세션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전 세계 수요에 못 미치고 있는 백신의 공급 확대를 위해 한국이 보유한 대량의 바이오의약품 생산 역량을 기반으로 글로벌 백신 허브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라고 공언함.

– 현재 정부는 「글로벌 백신 허브화 추진 TF」를 발족한 상태이고 생산 역량 강화를 위한 인프라 확충 등 국내 백신산업에 대한 각종 정책적·재정적 지원 마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음.

○ 글로벌 백신 허브화 전략의 일환으로, 특허청은 향후 1년간 코로나19 백신 분야 특허출원을 우선심사 하겠다고 발표함.

– 국내에서 개발하거나 생산하는 백신에 대한 특허심사를 우선 처리하여 백신 기업들의 ‘빠른 특허 획득’을 지원하겠다는 것으로, 우선심사 대상은 ① 공공 연구개발사업 결과물에 관한 출원, ② (임상시험용 포함) 백신을 생산 중인 기업의 생산기술 관련 출원임.

○ 그러나 지적재산 독점은 현재 국제사회가 직면한 코로나19 백신 수급 불안의 근본적 원인임.

– 백신 생산 역량을 가진 많은 생산시설이 실제 활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각국 정부는 부족한 물량을 두고 경쟁하고 있음. 공급자 우위 시장에서 제약사들은 백신의 가격, 구체적인 공급 시기와 물량 등의 정보 일체를 비밀에 부칠 것을 정부에 요구하고 있음.

– 이러한 상황에서도 한국 정부는 제약사의 지적재산 독점을 앞장서 지지하겠다고 공언한 것임.

○ 지난 2월 26일 국내 첫 코로나19 백신 접종 시작으로 현재(6월 28일 기준)까지 약 1,500만 명이 1회 접종, 464만 명은 2회 접종을 완료했음. 정부는 11월까지 집단 면역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 호언장담하지만, 일각에선 여전히 백신 수급 불안을 우려하고 있음. 그리고 이는 비단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가 고통받고 있는 문제이기도 함.

○ 지난 6월 21일 세계보건기구(WHO)는 전 세계 코로나19 백신 생산 확대를 위한 ‘mRNA 백신 기술이전 허브’를 남아공 컨소시엄(보건부와 과학기술부가 주주인 공공제약사 Biovac 등)에 출범함.

– 연구기관, 제약사 여러 곳으로부터 기술과 지식, 노하우를 공유받은 뒤, 백신을 생산하고자 하는 중·저소득 국가 여러 곳에 기술이전과 훈련을 제공하는 ‘허브’ 역할을 맡게 되며, 향후 허브의 추가지정, mRNA 백신 외 다른 플랫폼으로 확대 가능성도 열어둠.

– 앞서 WHO는 4월 16일 ① 기술이전 허브를 유치하고자 하는 생산시설, ② 보유한 기술·지적재산권을 공유하고자 하는 기관의 의향 표명서를 요청함. 이후 총 25개 중·저소득 국가가 기술이전을 받고 싶다고 표명한 데 반해, mRNA 백신을 허가받아 유통 중인 화이자/바이오앤테크, 모더나 기술이전은 물론 노하우 공유 의사도 표명하지 않음.

○ 잘 알려져 있듯이 코로나19 백신의 개발에는 상당한 수준의 공적 자원이 투입되었음. 따라서 코로나19 백신은 단순히 제약사의 이윤추구를 위한 상품이 아닌, 전 세계 모든 사람의 공평한 접근성이 보장되어야 하는 ‘글로벌 공공재’라는 주장은 이미 잘 알려져 있음.

– 현재 상용화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모더나 백신, 임상시험을 완료한 노바백스 백신이 모두 글로벌 차원의 백신 개발·생산·구매·배분 협력체, ‘코백스(COVAX)’를 통해 공적자금을 지원받았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경우 영국 옥스퍼드대 제너연구소가 개발해 아스트라제네카에 이전한 것이며, 모더나 백신의 경우 미국 국립보건원 산하 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가 개발해 모더나에 이전한 것임.

– 아직 개발이 완료되지는 않았지만, 국내 기업들의 백신 후보물질 역시 공공 연구기관과의 협업, 공공 연구개발 자금 등 지원을 받고 있음.

백신의 개발뿐만 아니라, 생산에도 상당한 수준의 공적 자원이 투입되고 있음. 그런데도 백신의 생산에 대한 공적 자원 투입, 특히 공적 생산시설의 존재와 활용 현황, 그리고 생산의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한 공적 통제에 대한 논의는 공백인 상태임.

공적 생산시설은 국가별 의약품 생산 체계에서 필수의약품의 접근성을 보장하는 공적 역할을 수행하며, 그 형태는 다양하나 국가의 소득 수준과 무관하게 존재함.

① 영국 PBL (Porton Biopharma Limited)

– 2015년 설립된 PBL은 바이오의약품 치료제와 백신을 개발하고 생산하는 영국 보건부 소유 기관으로, 과거 영국 공중보건국(Public Health England)이 생산하던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치료제 에르위나제(Erwinase)와 탄저병 백신을 생산 중임.

② 프랑스 LFB (Laboratoire français du Fractionnement et des Biotechnologies)

– 1994년 설립된 LFB는 프랑스 정부 소유 기관으로, 설립 이후 희귀·난치성 질환 의약품을 생산하다가 2019년 2월 LFB 전략적 전환 프로젝트(LFB Strategic transformation project)를 계기로 면역학, 혈액학 및 응급의학에 사용되는 15개 종류의 혈장 및 단백질 치료제의 생산 및 공급을 핵심 사업으로 선정함. 15개 의약품은 80개 질환을 대상으로 하며 이 중 2/3는 희귀·난치성 질환임.

○ 국내에도 안동, 화순, 송도에 바이오의약품의 공적 생산시설이 존재하며 백신의 대량 생산 역량을 갖추고 있음. 그러나 현재 한국의 공적 생산시설은 민간 제약사의 백신 생산을 대신 수행하거나 보완하는 기능을 담당할 뿐 사실상 공적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상태임.

– 공적 생산시설 혹은 공적 지원에 기반한 인프라(시설과 장비)로부터 생산된 백신은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모든 사람의 공평한 접근성을 보장하는 ‘글로벌 공공재’로서 기능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공적 통제가 필수적임.

○ 본 이슈 브리프는 안동, 화순, 송도에 소재한 국내 바이오의약품의 공적 생산시설을 개괄하고 각 시설의 생산 역량과 코로나19 백신 생산 계약 체결 현황을 소개함. 공신력 있는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여러 차례 정부에 정보를 요청하였으나 얻지 못한 관계로, 온라인에서 얻을 수 있는 자료를 토대로 작성함.

  1. 결론 및 제언

○ 지금까지 본 이슈 브리프는 안동, 화순, 송도에 소재한 국내 바이오의약품의 공적 생산시설을 개괄하고, 각 시설의 생산 역량과 코로나19 백신 생산 계약 체결 현황을 소개함. 조사 결과, 각 공적 생산시설 모두 백신 원액 생산과 완제 생산 역량을 보유하고,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한 코로나19 백신을 생산하고 있었음.

공적 생산시설은 100% 공적 재원으로 설립되었지만, ‘산업 육성’, ‘경제 활성화등 막연한 목표를 표방하며 민간 기업의 백신 생산을 대신 수행하거나 보완하는 기능을 담당할 뿐, 그 결과물에 대한 공평한 접근성, 저렴한 가격 책정을 보장하기 위한 기전이 없었음. 또한 현재까지 공개된 정보만으로는 공적 생산시설에서 생산하기로 계약한 물량이나 생산 단가조차 파악하기 어려웠음. 반면 제약사는 유무형의 공적 지원을 받아 생산된 백신으로 엄청난 수익을 올릴 예정임.

○ 공적 자원으로 의약품 생산시설을 구축하고 관리하는 만큼 생산물 또한 공공재로서 기능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공적 통제가 필수적임. 공적 생산시설의 투명한 정보 공개는 생산의 공공성확보를 위한 공적 통제의 출발이며 정확한 정보에 기반하여 향후 백신의 생산 및 공급 계획을 수립해야 함.

○ 정부는 한국을 글로벌 백신 허브로 만드는 것이 세계적인 백신 수급 차질을 해결할 방안이라며, 국내 제약사의 지적재산 독점을 앞장서 지원하는 중임. 이는 백신의 글로벌 공공재 실현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반하는 결정일 뿐만 아니라, 제약사의 독점권을 보장해주는 것이 글로벌 백신 허브를 구축·관리·운영함에 있어 필수적인 조건도 아니란 점을 의도적으로 무시하는 것임.

○ 현재 우리가 목도하고 있는 코로나19 백신 수급 불안, 가격, 접근성과 관련된 모든 문제는 제약사의 지적재산 독점에서 비롯됨. 코로나19 초기부터 국내외 시민사회는 백신의 개발과 생산에 관련된 모든 지식을 공유하는 길만이 감염병의 종식을 앞당길 방법이라 주장했고, 최근 미국, 캐나다, 프랑스 등 고소득 국가들도 잇달아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지적재산권 면제’에 지지 의사를 표명하고 있음.

○ 최근 쿠바 정부는 쿠바의 보편적 의료보장 체계를 위한 보조금 명목의 금액을 지불하면 국영제약사 핀레이백신연구소(Finlay Institute of Vaccines)가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의 지적재산권을 모두 공개하겠다고 발표했는데, 이는 사실상 지적재산권을 무료로 제공하겠다는 의미와 같음. 이외에도 쿠바는 백신 생산권을 타국에 내주거나 저소득 국가에 기부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밝히는 등 백신의 글로벌 공공재 실현을 위해 몸소 실천하고 있음. 남아공 정부는 작년 10월 인도 정부와 함께 세계무역기구(WTO) 무역관련 지적재산권 위원회(TRIPS)에 ‘지적재산권 면제’를 처음 제안했을 뿐 아니라, 중·저소득 국가의 코로나19 백신 생산 확대를 위해 세계보건기구(WHO) ‘mRNA 백신 기술이전 허브’를 공공제약사 바이오백(Biovac) 등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에 유치함.

○ 한국 정부도 백신 생산의 공공성을 강화할 수 있는 결단을 내려야 할 것임. 공적 생산시설이 제약사와 맺은 계약 체결과 관련한 모든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공적 생산시설에서 생산된 백신이 공공재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통제 장치를 마련해야 함. 나아가 코로나19 백신 생산 확대를 위해 필수적인 ‘지적재산권 면제’를 지지하고 백신의 공평한 접근성을 보장하는데 기여해야 함.

 

<차 례>

  1. 들어가며 1
  2. 국내 공적 생산시설 개요 4
  3. 공적 생산시설의 코로나19 백신 생산 및 계약 체결 현황 6
    1. 국내 코로나19 백신 생산 및 계약 체결 현황 6
    2. 공적 생산시설 별 백신 생산 역량 및 코로나19 백신 생산 계약 체결 현황 8
  4. 결론 및 제언 10

 

<표 차례>

[표 1] 국내 코로나19 백신 생산 및 계약 체결 현황 7

[표 2] 공적 생산시설 별 백신 생산 역량 및 코로나19 백신 생산 계약 체결 현황 9

 

[PHM Korea Issue brief]  Who has the right to use COVID-19 vaccines produced
in public manufacturing facilities? (July 5, 2021)

 

After the ‘ROK-US Vaccine Partnership’ which was agreed during the ROK-US high-level summit at Washington DC held on 21 May, the SKG has been quickly pushing for a project, so-called ‘South Korea as global vaccine hub’. The SKG announced that they prepared various types of policies to support making South Korea a global vaccine hub, and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nnounced on 22 June that they would enact the accelerated examination for COVID-19 vaccines over the next year. This was the SKG’s official stance to support IP monopolies, and Korean CSOs immediately opposed this drive. Pharmaceutical companies’ IP monopoly is a fundamental cause of the COVID-19 vaccine shortage that the global society has faced. Many manufacturing facilities that possess vaccine production capacities are not being utilized due to the IP monopolies, and all countries have been competing with each other for vaccine purchases. EACT Korea criticized the intellectual monopoly of pharmaceutical companies along with the SKG’s current IP monopoly policy, and insisted the SKG utilize public production facilities for public health for all, not for industrial purposes. 

 

As we all knew, COVID-19 vaccines should function as global public goods rather than as products for pharmaceutical companies’ profit-seeking purposes, since COVID-19 vaccines were developed by a significant amount of public R&D support. Although an enormous amount of public funds has been allocated to build public manufacturing facilities, the very existence of public manufacturing capacity was relatively less well known than public R&D even during this pandemic. There are four major public manufacturing facilities in South Korea, the public CMO for Animal Cell-based Vaccines in Andong, the public CMO for Microbial-based Vaccines in Hwasun, the Biopharmaceutical Research Center in Hwasun, the Korea Bio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enter in Songdo, and all facilities have mass production capacities of vaccines. However, these public facilities currently served as a CMO for vaccines being developed by pharmaceutical companies rather than performing a public function itself. In short, public manufacturing facilities, which were established with 100% public funds, were producing COVID-19 vaccines being developed by pharmaceutical companies, without public control, under vague aims such as fostering bioindustry and revitalizing the economy.

 

In order to promote public scrutiny and control over the public vaccine manufacturing capacity, EACT Korea brief, titled ‘Who has the right to use COVID-19 vaccine produced by public manufacturing facilities?’, investigated the capacity of public vaccine manufacturing facilities in detail, and the current contract status of COVID-19 vaccine CMO (Table 2). We used th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nd also criticized the SKG for failing to disclose full relevant information despite our constant request. 

 

Table 2

 

이슈브리프 원문 바로가기: PHM 브리프_코로나19 백신생산_공공성_2021

[PHM Korea 이슈브리프] 코로나19 진단키트 산업의 공공성: 정부와 진단키트 기업이 가져야 할 공적 책무성

1.  들어가며

○ 국내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확인된 지난해 1월, 질병관리본부(현 질병관리청, 이하 질본)의 감염병분석센터와 대한진단검사의학회는 시약업체와 만나 질본이 개발한 진단시약 프로토콜을 공유하고 진단키트 개발을 독려하였음. 1월 31일, 질본은 기존 검사법과 비교해 확진 소요 시간이 4분의 1로 단축된 자체 개발 검사법을 도입하였음. 2월 4일 이후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총 7개 기업의 진단키트를 긴급사용승인하였음.

○ 즉, 코로나19 초기 진단키트는 신종 감염병에 대한 국가 차원의 대응을 위한 정부의 개입을 통해 빠르게 개발되고 승인되어 공급에 이를 수 있었음.

○ 그간 진단키트는 “K-방역”의 탄생에서부터 최근의 자가진단키트 승인과 필요성에 대한논란까지 쉽게 정치화되어왔음. 반면 진단키트의 개발부터 공급에 이르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정부와 진단키트 기업의 공적 책무성은 충분히 논의되지 않았음.

○ 따라서 본 이슈브리프는 코로나19 진단키트를 ① 산업화와 가격 및 제조비용 불투명성 ② 기업에 대한 ‘조건 없는’ 공적 지원이라는 두 차원에서 살펴보고자 함. 이를 통해 정부와 기업이 진단키트 산업에 더 책무성을 가져야 함을, 유무형의 공적 지원을 통해 개발된 코로나19 진단키트에 대한 공평한 접근성을 보장해야 함을 주장하고자 함.

 

……

 

4. 결론: 정부와 진단키트 기업이 가져야 할 공적 책무성

○ 지금까지 본 이슈브리프는 코로나19 진단키트 기술에 대한 공적 지원 현황과 공적 책무성부재 문제에 대해 비판적으로 분석함. 분석 결과, 기술은 정부로부터의 유무형의 지원을 통해 개발, 보급되었지만 이 기술에 대한 공평한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한 정부와 기업의 공적 책무성은 충분히 확보되지 않았음.

○ 결과적으로 각종 공적 자금과 정부의 혜택을 받은 국내의 코로나19 진단키트는 개별 기업의 이익으로만 귀결되고 있음. 이러한 상황의 가장 큰 요인은 정부가 공적 지원의 결과물에 대한 공적 책무성을 기업에게 요구하지 않기 때문임. 이는 코로나19라는 전지구적 공중보건위기 상황 극복에 역행하는 흐름임.

○ 코로나19 이후 전 세계 시민사회는 감염병의 빠른 종식을 위하여 관련 기술을 공유하고, 지적재산권을 유예할 것을 요구해왔으며, 이에 각국 정부들도 공적 책무성을 다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음. 예컨대 최근 스페인 정부는 규모 있는 고소득 국가 가운데 처음으로 세계보건기구(WHO)가 출범한 코로나19 기술 접근 풀(C-TAP)에 참여하고 스페인 국가연구위원회(CSIC)가 코로나19 진단키트 기술을 공유할 것을 약속하였음. 그러나 한국 정부는 아직까지 C-TAP 참여나 지적재산권 유예(트립스 유예안)에 대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음.

○ 또한 공적 지원을 받은 민간 기업이 중·저소득국가의 접근성 보장과 기술이전을 통한 현지 생산 확대 등의 공적 책무성 달성을 위한 노력을 한 사례도 있음. 2020년 3월 영국 정부는 영국의 진단 기술 기업인 멀로직(Mologic)에 코로나19 진단키트 개발을 위한 공적 자금 백만 파운드(1.2백만 달러)를 지원하였고, 멀로직은 진단키트 개발 초기 단계부터 세네갈의 진단 키트 기업 디아트로픽스(DiaTropix)와 협업하여 신속항체진단키트를 공동 개발함. 즉 이러한 방식을 통해 영국 정부는 고소득국가 기업의 진단 검사 가격을 지불할 수 없는 중·저소득국가에 저렴한 가격을 유지하며 진단키트를 공급하는데 기여한 것임.32)

○ 앞으로 정부는 진단키트 기업에 대한 공적 지원 시 공적 책무성 조건을 구체적이고 뚜렷하게 명시하고, 연구의 결과물을 사회에 환원할 것을 기업에 요구해야 함. 나아가 정부는 공적 지원을 받아 개발된 진단키트에 대한 공평한 접근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지적재산권 유예(트립스 유예안)를 지지해야 함.

 

차례

1. 들어가며 ························································································································· 1

2. 코로나19 진단키트: 산업화와 가격 및 제조비용 불투명성 ····································· 2

3. 코로나19 진단키트: 기업에 대한 ‘조건 없는’ 공적 지원 ·········································· 4

  • 3.1. 공공연구기관 개발 기술의 이전 ·····································  4
  • 3.2. 연구개발비 지원 ····························································· 5
  • 3.3. 생산 및 수출 지원 ··························································· 6
  • 3.4. 규제 완화 ······································································· 7

4. 결론: 정부와 진단키트 기업이 가져야 할 공적 책무성 ·········································· 10

 

The SKG made emergency approval on several COVID-19 diagnostic kits at the early stage of the pandemic in 2020. Since then, many exemptions and deregulations were further made, but the public responsibility and accountability that the SKG and the testing kit firms should show have rarely been discussed. In this brief of the diagnostic kits industry under the COVID-19 in South Korea, we traced what kinds of exemptions and deregulations were offered from the government to the Korean testing kit companies including exclusive licensing of the public R&D outcomes to private firms, the government’s funding R&D processes and costs to the firms, and supporting manufacturing and exports of these Korean testing kits. In conclusion, we called for the monitoring by and accountability of the SKG towards more public returns about the profits of the testing kit companies supported and funded by the wider public.

 

이슈브리프 원문 보기: PHM 브리프_코로나19 진단키트_공공성_2021

[전세계 시민사회단체 성명서] 특허 체계를 중단하라! 제약산업에 대한 민주적 공적 통제와 공적이고 보편적인 무상 백신접종 체계를 위하여

2021년 5월 18일 한국민중건강운동은 전 세계 수백개 시민사회단체가 함께한 코로나19 백신 특허 체계 중단 촉구 성명서에 연명했습니다. 아래는 성명서를 한국어로 번역한 내용과 연명 단체들입니다. 성명서 원문은 CADTM International 홈페이지에 게시되어 있습니다. 여러분들의 일독과 공유를 부탁합니다!

특허 체계를 중단하라!

제약산업에 대한 민주적 공적 통제와 공적이고 보편적인 무상 백신접종 체계를 위하여

특허 체계를 중단하라_image

국제협력에 기초한 엄청난 과학적 노력과 유례없는 양의 공적 자금 덕분에, 인류는 1년도 채 되지 않는 시간에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위대한 성취는 제약산업의 탐욕에 의해 그늘이 드리워질 수 있다. 지금과 같이 중차대한 상황에서 대다수 사람들은 특단의 조치들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는 제약산업과 그 이윤추구 경향에도 적용되어야 한다. 코로나19 백신 특허의 중지는 최고 우선 순위이자 첫 걸음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우리는 여기서 멈출 수 없다. 코백스(COVAX)나 코로나19 기술 접근 공동관리(C-TAP)와 같은 계획들은 처참히 실패했다. 이는 계획 그 자체의 불충분함 때문 뿐만 아니라, 부유한 국가와 초국적 기업이 그들의 취향에 맞게 세계 질서를 재편하려고 하는 현재의 글로벌 거버넌스 체계의 실패를 이들 계획이 반영하기 때문이다. 자선과 급증하는 민-관 이니셔티브는 해답이 아니다. 시장 원리와 이윤 극대화 경향에 의해 추동되는 국가와 산업이 지배하는 세계에서, 오늘날과 같은 세계적인 도전에 직면했을 때는 더욱 그렇다.

보건 위기가 해결되려면 아직 멀었다. 자본주의 체제와 신자유주의 정책은 모든 단계를 주도해 왔다. 이 바이러스의 근원에는 인류와 자연 사이 관계의 걷잡을 수 없는 변화가 있다. 생태적 위기와 보건 위기는 밀접하게 얽혀 있다. 동일한 약탈적 신자유주의 논리가 두 가지 위기에 경영 정책의 사적, 경쟁적 원칙을 적용함으로써 두 가지의 결과를 모두 악화시켰다. 그 결과는 소수 특권층의 이익을 위한 더 많은 불평등, 더 많은 고통, 더 많은 죽음이다.

이 팬데믹은 우리가 수십 년 동안 관찰해 온 위험한 경향, 즉 노동계급, 특히 여성과 유색인종이 가장 큰 고통을 겪는 사회적 격차와 다차원적 현상을 가속하고 심화시켰다. 여성들은 팬데믹의 최전선에 있는 보건의료 노동자의 대다수를 차지할 뿐만 아니라, 공공 서비스와 사회적 권리에 대한 예산절감에도 불구하고 생명을 지키는 이들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첫 번째 희생자이다.

건강, 보건의료 접근성, 백신 접종은 보편적 인권이다. 그러므로 백신은 글로벌 공공재로 여겨져야 한다. 백신의 보편적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특허를 유예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시급하다. 이 조치에는 모든 국가에서 제약산업 공공화와 공공적 제약산업 발전에 대한 강력한 투자를 위한 기전이 동반되어야 한다. 백신 생산과 배분의 공공적 계획, 가능한 경우 현지 생산 역량의 개발, 가능하지 않은 경우 그를 보완할 수 있는 구속력 있는 국제연대, 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하려면 결단력 있는 조치가 필요하다.

바이러스에 국경이 없듯이, 바이러스와의 싸움에도 국경이 없어야 한다. 건강 국수주의는 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반동적 경향의 또 다른 얼굴이다. 남반구 사람들은 전 세계 나머지 사람들과 동등하게 백신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우리는 인류 모두에게 그 결과를 공유할 목적으로 백신과 치료제를 개발중인 쿠바의 노력을 환영한다. 팬데믹과 같은 지구적 과제는 적절한 지구적 대응을 필요로 한다.

기업 경제, 시장에 대한 맹목적 믿음, 이윤 추구는 인류의 안녕과 양립할 수 없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건강은 상품이 아니다. 경제 회복을 위해 다수의 건강이나 권리를 희생시킬 수는 없다. 우리는 선택해야 한다. 자본이냐 생명이냐. 우리는 신속하고 강력하게, 양질의 보건의료에 대한 보편적이고 평등한 접근을 보장하기 위한 세계적인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이러한 모든 이유로, 우리는 다음과 같이 요구한다.

  • 코로나19와 관련된 모든 기술, 지식, 치료제, 백신에 대한 특허의 중단
  • 영업비밀의 제거, 생산원가 및 공적투자 관련 정보의 공개. 명확하고 공개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식
  • 백신 개발의 모든 단계에 대한 투명성과 철저한 공적 검토
  • 백신 접종과 치료에 대한 보편적이고, 무료이며, 개방적인 접근
  • 민주적 공적 통제를 통한 제약산업 징발과 사회화. 보편적 공공보건의료 체계의 기초로서 제네릭 의약품 생산의 촉진
  • 공공보건의료 정책을 위한 공적투자와 예산 증액. 인력 증원, 급여 인상, 근로조건 개선 포함
  • 자산세(최부유층 1%의 자산과 소득에 대한 세금) 도입. 팬데믹 대응 재원조달, 글로벌 자본주의의 다양한 위기로부터 사회적으로 정의롭고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한 탈출 보장
  • 팬데믹 기간 동안 채무 상환 중단, 불법 채무 말소, 팬데믹 대응 자금 지원 계약

2021년 5월 18일

이하 전 세계의 연명단체들(단체명은 번역 없이 원문으로 표기함):

Intercontinental organisations :

  1. Committee for the Abolition of Illegitimate Debt (CADTM) international network www.cadtm.org;
  2. Global Campaign to Reclaim Peoples Sovereignty, Dismantle Corporate power and Stop Impunity https://www.stopcorporateimpunity.org/;
  3. Global/Glocal Network for Quality Education Red global/Glocal por la calidad educativa https://redglobalcalidaded.wixsite.com/redglobalcalidadeduc/integrantes;
  4.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Health Policy (IAHP) https://iahponline.wordpress.com/;
  5. International Peoples’ Assembly (IPA) https://twitter.com/asambleapueblos;
  6. Labour Network of Solidarity and Struggles ://www.laboursolidarity.org/;
  7. People’s Dialogue (south-south network) https://www.peoplesdialogue.org/about/;
  8. People’s Health Movement (PHM) https://phmovement.org/;
  9. The Agora of the Inhabitants of the Earth https://agora-humanite.org/;
  10. Transnational Institute https://www.tni.org/en/transnational-institute
  11. World Social Forum Reflection Group https://www.foranewwsf.org/;
  12. World March of Women https://marchemondiale.org/

Europe :

International organisations

  1. CADTM Europe (Belgium, France, Italy, Greece, Luxembourg & Switzerland
  2. European Network against Commercialisation of Health and Social Protection http://europe-health-network.net/

Austria:

  1. Latin America Information Group Informationsgruppe Lateinamerika https://lateinamerika-anders.org/
  2. Institute for Intercultural Research and Cooperation https://www.latautonomy.com
  3. Zéro covid

Belgium:

  1. A CONTRE-COURANT http://a-contre-courant.be/
  2. ATTAC Wallonia-Brussels https://wb.attac.be/
  3. CADTM Belgium http://www.cadtm.org/Francais
  4. CEPAG https://www.cepag.be/
  5. CETRI – Centre tricontinental, Belgique, www.cetri.be
  6. Cultural Presence and Action Présence et Action Culturelles https://www.pac-g.be/
  7. Forum North South Forum Nord-Sud
  8. General Labour Federation of Belgium Wallonia Fédération Générale du Travail de Belgique(FGTB) wallonne https://www.fgtb-wallonne.be/
  9. Fonds Ernest Mandel (Belgique) https://www.facebook.com/Ernest-Mandel-Fonds-1952230961709990/
  10. Formation Léon Lesoil (Belgique) http://formationleonlesoil.org/
  11. National Employees’ Centre Centrale Nationale des Employés (CNE-CSC) https://www.lacsc.be/cne
  12. Struggle for health La Santé en Lutte https://lasanteenlutte.org/ https://www.facebook.com/profile.php?id=100063697504866
  13. Walloon Anti-Poverty Network (RWLP) Réseau wallon de lutte contre la pauvreté

Bosnia-Herzegovina:

  1. Association for Culture and Art CRVENA in Sarajevo https://crvena.ba/

Czech Republic:

  1. Prague Spring 2 – Network against right wing extremism and populism – https://www.facebook.com/praguespring2/

England:

  1. Zéro Covid (England & Wales) https://zerocovid.uk

France :

  1. AITEC;
  2. Appel Brevets sur les vaccins anti-covid, stop. Réquisition !
    https://www.facebook.com/Stop-aux-brevets-R%C3%A9quisition-105952548197339/;
  3. Association for Employment, Information and Solidarity (APEIS) Association pour l’emploi l’information et la solidarité https://www.apeis.org;
  4. Association INDECOSA-CGT https://indecosa.fr/a-propos/;
  5. Citizens’ Science Association Association Sciences Citoyennes https://sciencescitoyennes.org/;
  6. ATTAC;
  7. Cedetim;
  8. Cerises la coopérative ceriseslacooperative.info
  9. CGT Sanofi https://www.facebook.com/sanoficgt/
  10. Collective of employees in Anti-Sanofric struggle Collectif des salariés en lutte Anti-Sanofric https://www.facebook.com/LesSanofi;
  11. Copernicus Foundation Fondation Copernic http://www.fondation-copernic.org/
  12. Democratic Kurd council in France Conseil démocratique kurde en France (anciennement: Fédération des Associations Kurdes en Francehttps://cdkf.fr/a-propos/;
  13. Emergency Workers Collective Collectif Inter-Urgences https://www.interurgences.fr/;
  14. Fédération SUD chimie -Solidaire, unitaire et démocratique- https://sud-chimie-solidaires.org;
  15. France Amérique Latine (FAL) : https://www.franceameriquelatine.org/;
  16. Henri Pézerat Association(health, work, environment) Association Henri Pézerat (santé, travail, environnement) https://www.asso-henri-pezerat.org/;
  17. Ipam;
  18. Medicines Common Good Médicament Bien Commun http://medicament-bien-commun.org/;
  19. National convergence of collectives for the defence and development of public service Convergence nationale des collectifs de défense et de développement des services publics https://www.convergence-sp.fr/;
  20. Observatory of Transparency in Medicines Policies (OTMeds) Observatoire de la Transparence dans les politiques du médicaments https://www.facebook.com/OTMeds/;
  21. “Our Health in Danger” Collective Collectif « Notre Santé en Danger »;
  22. People’s Health Movement France;
  23. Revue Inprecor http://www.inprecor.fr/home;
  24. Sud santé-sociaux http://www.sudsantesociaux.org/;
  25. The University of the Common Good of Paris L’Université du Bien Commun de Paris https://www.facebook.com/Université-du-bien-commun-2187371374822819/;
  26. Union Syndicale de la Psychiatrie uspsy.fr;
  27. Union of General Medicine Syndicat de la Médecine Générale https://smg-pratiques.info;
  28. Union syndicale Solidaire https://solidaires.org/;
  29. WOS/agence des hypothèses https://wos-agencedeshypotheses.com;
  30. Zero Covid Solidaire https://www.facebook.com/Zéro-Pandémie-Solidaire-113278857470238/?ref=page_internal;

Germany

  1. Association of Democratic Doctors Germany http://www.vdaeae.de/
  2. LabourNet
  3. Socialist Newspaper Sozialistische Zeitung https://www.sozonline.de/
  4. Zukunftskonvent
  5. Zéro covid

Greece :

  1. Expel Racism Initiative https://www.kar.org.gr/;
  2. Initiative of Healthcare Workers for a Public Health – People’s Right – Social Good Πρωτοβουλία Υγειονομικών για μία Δημόσια Υγεία – λαϊκό δικαίωμα – κοινωνικό αγαθό;
  3. Naturefriends Greece https://www.naturefriends.gr/;
  4. Solidarity for All (Athens Greece) https://www.solidarity4all.gr/;
  5. Sunday Immigrants School https://www.ksm.gr/;
  6. Women’s Rights Organisation (TO MOV) Οργάνωση Γυναικείων Δικαιωμάτων ΤΟV tomov.gr

Hungary :

  1. ATTAC Hungary http://www.attac.hu/

Ireland :

  1. Campaign for an All Ireland National Health Service https://www.facebook.com/CampaignAINHS/

Italy :

  1. ATTAC Italy https://www.attac-italia.org/
  2. CADTM Italy http://italia.cadtm.org/

Portugal :

  1. Amílcar Cabral Development Intervention Centre (CIDAC) Centro de Intervenção para o Desenvolvimento Amílcar Cabral www.cidac.pt

Slovenia :

  1. Institut Mirovni https://www.mirovni-institut.si/en/ (Slovenia)

Spain :

  1. Andalusian Workers Union Sindicato Andaluz de Trabajadores/as (SAT) https://www.facebook.com/SindicatoSAT;
  2. ATTAC Spain https://attac.es/;
  3. Audit of the Health Care Debt (Health debt) Auditoria de la Deuda en Sanidad (Audita Sanidad) https://auditasanidad.org/;
  4. Basque Workers Solidarity (ELAEuskal Langileen Alkartasuna https://www.ela.eus/es;
  5. Citizen’s Audit Platform on Debt Plataforma Auditoría Ciudadana de la Deuda https://auditoriaciudadana.net/;
  6. Coordination Against the Privatisation of Health Care Coordinadora Antiprivatizacion de la Sanidad https://www.casmadrid.org/
  7. Ecologists in Action Ecologistas en Acción https://www.ecologistasenaccion.org/;
  8. Galician Inter-Union Confederation Confederación Intersindical Galega (CIG) https://www.cig.gal/;
  9. Health Workers’ Assembly Movement Movimiento Asambleario de Trabajador@s de Sanidad(MATS) https://mats-sanidad.com/;
  10. Langile Abertzaleen Batzordeak Workers Union (LAB) Basque country https://www.lab.eus/es/
  11. Multinational Observatory in Latin America Observatorio de Multinacionales en América Latina (OMAL) https://omal.info/;
  12. Navarra Health Platform Plataforma Navarra de Salud /Nafarroako Osasun Plataforma http://nafarroakosasunplataforma.blogspot.com/ https://www.facebook.com/Plataforma-Navarra-de-Salud-Nafarroako-Osasun-Plataforma-462069400539481/
  13. Valencian Union Confederation Intersindical Valenciana (País Valencià) https://intersindical.org/

Switzerland :

  1. CETIM https://www.cetim.ch/
  2. MultiWatch https://multiwatch.ch/
  3. World March of Women
  4. Zéro covid

Africa

International organisations :

  1. African Alliance WoMin. https://womin.africa/;
  2. CADTM Afrique;
  3. North African Network for Food Sovereignty https://www.siyada.org/ar/;
  4. Pan African Association for literacy and Adult Education https://www.adeanet.org/fr/association-panafricaine-d-alphabetisation-et-d-education-des-adultes-paalae;
  5. Réseau nord-africain pour la souveraineté alimentaire https://www.siyada.org/ar/;
  6. Rural Women’s Assembly Southern Africa https://ruralwomensassembly.wordpress.com/ https://ruralwomensassembly.wordpress.com/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

  1. CADTM Lubumbashi

Kenya :

  1. Kenyan Peasants League www.kenyanpeasantsleague.org
  2. Kenya Debt Abolition Network

Morocco :

  1. Moroccan Association for Human Rights Association marocaine des droits humains (AMDH): http://amdh.org.ma/;
  2. ATTAC CADTM Morocco https://attacmaroc.org/;
  3. Democratic labour organisation Organisation démocratique du travail
  4. Moroccan Network for the Defence of the Right to Health and the Right to Life Réseau marocain pour la défense du droit à la santé et droit à la vie
  5. Southern Alternatives Forum Forum des alternatives Sud https://www.e-joussour.net/fr/

Senegal :

  1. Pan Africa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NGO (PAEDD) La Panafricaine pour l’Education au Développement Durable ONG ongpaedd.org;
  2. Pan-African Youth Organisation Organisation des Jeunesses Panafricanistes;
  3. Senegalese Social Forum Forum social sénégalais

Tunisia :

  1. Al Warcha Media Association for Economic and Social Rights Association Al Warcha médiatique pour les droits économiques et sociaux https://www.inhiyez.com/;
  2. Tunisian Women’s Association for Research on Development (AFTURD) Association des Femmes Tunisiennes pour la Recherche sur le Développement
  3. Tunisian Observatory of the Economy Observatoire Tunisien de l’économie http://www.economie-tunisie.org/fr

South Africa :

  1. AIDC https://aidc.org.za/
  2. The People’s Vaccine Campaign

Americas :

International organisations :

  1. ALBA MOVIMIENTOS http://albamovimientos.net/;
  2. CADTM-Abya Yala Notre Amérique (CADTM-AYNA);
  3. Council for Popular Education in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CEAAL) Consejo de Educación Popular de América Latina y el Caribe – https://www.facebook.com/CEAAL/;
  4. Jubilee South Americas
  5.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Society for Political Economy and Critical Thinking (SEPLA) Sociedad Latinoamericana y Caribeña de Economía Política y Pensamiento Crítico https://sepla21.org/fr/;
  6. Latin American Council of Social Sciences (CLACSO), Steering Committee Consejo Latinoamericano de Ciencias Sociales, Comité Directivo https://www.clacso.org/
  7. Latin American Network for Access to Medicines (RedLAM), Red Latinoamericana por el Acceso a Medicamentos (Argentina, Brasil, Peru and Colombia) www.redlam.org
  8. Our America Trade Union Forum (ESNA), Encuentro Sindical Nuestra América http://encuentrosindical.org/

Argentina :

  1. ATTAC – Argentina;
  2. Argentine Workers’ Central Union Central de Trabajadores Autónoma regional CTA-A Rosario https://www.ctarosario.org.ar;
  3. Cooperative of Popular Educators and Researchers – Historic (CEIP-H) Cooperativa de Educadores e Investigadores Populares Histórica, Argentina;
  4. Corriente Sindical Carlos Chile (Argentina) https://www.facebook.com/CorrienteCarlosChileCTAA/;
  5. Darío Santillán Popular Front Frente Popular Darío Santillán https://abriendo-caminos.org/;
  6. Front of Organisations in Struggle (FOL) Frente de Organizaciones en Lucha https://www.facebook.com/FOLFrenteDeOrganizacionesEnLucha/;
  7. Fundación GEP (Argentina) Www.fgep.org;
  8. Health Institute Patria Salud Instituto Patria;
  9. Movement for Latin American Unity and Change Movimiento por la Unidad Latinoamericana y el Cambio Social http://mulcs.com.ar/ / Movimiento 8 de Abril)
  10. National Federation of University Teachers (CONADU)-Historic, Argentina Federación Nacional de Docentes Universitarios – Historica de Argentina
  11. People’s Movement: For a Feminist Socialism from Below Movimiento de los Pueblos: Por un socialismo feminista desde abajo (Frente Popular Darío Santillán – Corriente Plurinacional / Izquierda Latinoamericana Socialista;
  12. Santa Fe Teachers’ Association Asciación del Magisterio Santa Fe – Delegación Rosario http://www.amsaferosario.org.ar/;
  13. Sindicato ADEMYS;
  14. SUTEBA de El Tigre

Bolivia :

  1. Confederation of Urban Education Workers of Bolivia CTEUB Confederación de Trabajadores de Educación Urbana de Bolivia

Brazil :

  1. ECCE Union of Education Professionals;
  2. Homa – Human Rights and Business centre Homa-Centro de Direitos Humanos e Empresas http://homacdhe.com/index.php/home/;
  3. National Association for Higher Education (ANDES) Sindicato Nacional dos Docentes das Instituições de Ensino Superior;
  4. São Paulo Teachers’ Union
  5. São Paulo State Teachers’ Union – Ourinhos;
  6. São Paulo State Teachers’ Union – São Paulo;
  7. São Paulo State Education Teachers’ Union – Litoral Sul;
  8. São Paulo State Teachers’ Union of Official Education – Osasco;
  9. The National Union of Federal Servers of Basic, Professional and Technological Education (SINASEFE);
  10. Union of Education Teachers of the State of São Paulo – Salto;
  11. Union of Technical and Administrative Workers of UFRN and UFERSA;
  12. Union of Bank Employees and Financiers of Bauru;
  13. Union of Teachers of Official Public Education of the State of São Paulo – São Bernardo do Campo;
  14. Union of Teachers of São Paulo State Official Public Education Union – Sumaré
  15. Vinhedo Employees’ Union

Chile :

  1. National Federation of Associations of University Officials of the University of Chile (FENAFUCH) Federación Nacional de Asociaciones de Funcionarios de la Universidad de Chile

Colombia :

  1. Colombian Platform for the Audit of the Public Debt and the Recovery of the Commons Plataforma Colombiana por la Auditoría de la Deuda Pública y la Recuperación de los Bienes Comunes http://www.pacdeprebico.org;
  2. Grupo Kavilando Medellin Colombia;
  3. Inter-University Network for Peace (REDIPAZ) Red Interuniversitaria por la Paz;
  4. Latin American Autonomous University, Socio-legal Research Centre of Colombia Universidad Autónoma Latinoamericana, Centro de Investigaciones Socio jurídicas de Colombia;
  5. National Federation of Colombian Bank Workers Unions (FENASIBANCOL) Federación Nacional de Sindicatos Bancarios Colombianos http://www.fenasibancol.org;
  6. National Union of Bank Employees (UNEB) http://www.unebcolombia.org;
  7. Research Group University de San Buenaventura Medellin (GIDPAD) Grupo de Investigación Universidad de San Buenaventura Medellín

Costa Rica :

  1. Association of Secondary Education Teachers (APSE) Asociación de Profesores de Educación Secundaria

Ecuador :

  1. National Union of Educators (UNE) Unión Nacional de Educadores;
  2. Platform “It’s worth of you Ecuador” https://vaportiecuador.wordpress.com/

El Salvador :

  1. Alforja network Red Alforja http://enlazandoculturas.cicbata.org/?q=node/103

Haiti :

  1. Haitian Advocacy Platform for Alternative Development (PAPDA) – Plataforma Haitiana de Defensa para el Desarrollo Alternativohttp://www.papda.org/

Honduras :

  1. COPINH Honduras

Mexico :

  1. Autonomous Movement for Community Emancipation (MAECC) of Oaxaca Movimiento Autónomo por Emancipación Comunitaria de Oaxaca;
  2. Confederation of Retired, Pensioned and Older Persons (CONJUPAM) Confederación de Jubilados, Pensionados y Adultos Mayores;
  3. Executive Committee, Section 9 Democracy (SNTE-CNTE) Comité Ejecutivo Sección 9 Democrática SNTE-CNTE
  4. Mexican Plural Pedagogic Collective Colectivo Plural Pedagógico Mexicano Kaichuk Mat Dha, Durango
  5. Mexican Union of Electricians Sindicato Mexicano de Electricistas http://www.sme.org.mx/index.html;
  6. Mujer, Pueblo – Magisterio. Cnte Durango Mexico https://www.facebook.com/puebloMagisterio/;
  7. National Assembly of Electrical Energy Users (ANUEE) Asamblea Nacional de Usuarios de la Energía Eĺectrica;
  8. National Coordinating Committee of Users in Resistance (CONUR) Coordinadora Nacional de Usuarios y Usuarias en Resistencia
  9. New Workers’ Centre Nueva Central de Trabajadores https://nuevacentral.org.mx/
  10. Workers Union of Higher Media Education Institute of CDMX (SITRAIEMS) Sindicato de Trabajadores del Instituto de Educación Media Superior de la CDMX

Panama :

  1. Association of Educators of Veraguenses of the Republic of Panama Asociación de Educadores Veraguenses de República de Panamá
  2. Critical Mass Panama Masa Crítica Panamá
  3. Teachers’ Association of the Republic of Panama (ASOPROF) Asociación de Profesores de la República de Panamá

Peru:

  1. Autonomous Territorial Government of the Wampis-Gtanw Nation Gobierno Territorial Autónomo de la Nación Wampis-Gtanw https://nacionwampis.com/;
  2. Unified Union of Education Workers of Peru (SUTEP)

Puerto Rico :

  1. Teachers Federation of Puerto Rico (FMPR) Federación de Maestros de Puerto Rico
  2. University of Puerto Rico Teachers Association Asociación de Profesores de la Universidad de Puerto Rico

United States of America :

  1. New York Communities for Change https://www.nycommunities.org/

Uruguay :

  1. Marcosur Feminist Articulation (AFM) https://www.facebook.com/ArticulacionFeministaMarcosur/
  2. Plataforma Descam
  3. International Network of University Professors and Academics on the State of the Public Debt Red Internacional de Cátedras Instituciones y Personalidades sobre el estado de la Deuda Pública

Venezuela :

  1. Centre for Research and Border Studies Centro de Investigación y Estudios Fronterizos
  2. International Observatory on Educational Reforms and Teacher Policies (OIREPOD) Observatorio Internacional de Reformas Educativas y Políticas Docentes
  3. International Research Centre other voices in Education (CII-OVE) Centro internacional de investigaciones otras voces en educación www.otrasvoceseneducacion.org
  4. Popular Training School Our America (EFPNA) Escuela de Formación Popular Nuestra América
  5. Venezuelan Forum for the Right to Education Foro venezolano por el derecho a la educación

Asia :

International Organisations :

  1. Health Action International Asia Pacific (HAIAP), http://www.haiasiapacific.org Regional organisation – virtual HQ – Penang Malaysia;
  2. International Network for a Human Economy Asia (RIEH) https://www.rieh.org/;
  3. NGO Forum on ADB;
  4. SAAPE https://saape.org/ South Asia
  5. World March of Women, Asia

Bangladesh :

  1. Bangladesh Working Group on External Debt (BWGED): https://bwged.blogspot.com ;
    CLEAN (Coastal Livelihood and Environmental Action Network): https://cleanbd.org

India :

  1. Citizens Forum for Mangalore Development;
  2. Collective for Economic Justice https://collectiveforeconomicjustice.wordpress.com/;
  3. Growthwatch (India) https://growth-watch.blogspot.com/;
  4. Indian Social Action Forum (INSAF) https://www.insafindia.com/;
  5. Karavali Karnataka Janabhivriddhi Vedike;
  6. Nadi Ghati Morcha;
  7. People’s Alliance of Central-East India (PACE-India);
  8. Prantojon https://www.facebook.com/prantajan;
  9. Progressive Plantation Workers Union (PPWU);
  10. Tamil Nadu Land Rights Federation (TNLRF) https://www.facebook.com/TNLRF/

Japan :

  1. ATTAC Japan

Malaysia :

  1. HAIAP Regional organisation – virtual HQ – Penang Malaysia

Pakistan :

  1. Haqooq Khalq Movement Pakistan
  2. Pakistan Kissan Rabita Committee

Philippines :

  1. Sentro ng mga Progresibo at Nagkakaisang Manggagawa -SENTRO- (Philippines) www.sentro.org

South Korea :

  1. KPDS (Korean Pharmacists for Democratic Society), Korea www.pharmacist.or.kr
  2. People’s Health Movement, South Korea

Sri Lanka :

  1. Ceylon Estate Staffs Union (CESU), http://cesusrilanka.org/index.html;
  2. Liberation Movement https://www.facebook.com/LiberationMovementLka;
  3. Movement for Land and Agricultural Reform https://monlar.lk;
  4. Movement for Nature Farming and Indigenous Livestock Farming;
  5. National Fisheries Solidarity Movement www.nafso-online.org;
  6. People’s Alliance for Right to Land –PARL-, http://parlsl.com Sri Lanka;
  7. Progressive Women’s Collective https://www.facebook.com/progressivewomensc;
  8. Protect Union;
  9. Sri Lanka All Telecommunication Employees Union SLATEU https://www.facebook.com/slptsunion;
  10. Telecommunication Engineering Diplomates’ Union (TEDA);
  11. United Federation of Labour (UFL)

한미 정상회담에서 코로나19 백신 불평등 문제 해결을 논의할 것을 요구하는 공개서한에 서명해 주십시오!

5월 21일 워싱턴에서 개최하는 한미 양국의 정상회담은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 6일 코로나19 백신 특허권 유예를 지지한다고 발언한 이후 백신 생산시설을 갖춘 한국 대통령과 만나는 중요한 자리입니다. 건강권 실현을 위한 보건의료단체연합를 비롯한 한국 시민사회는 이번 정상회담에서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가 인류를 위한 공공재임을 선언하고, 말이 아니라 지금 당장 행동으로 나설 것을 촉구하는 시민들의 서명을 받아 한미 정상에게 전달하고자 합니다.

보건의료단체연합이 작성한 공개서한(클릭!)에 여러분들과 지인들의 서명을 연명해 주십시오!